"화북천 하류 복원 주민 목소리, 지지한다"
잘못된 제주의 하천 관리, "변화 시작해야"

[미디어제주 김은애 기자] '화북천 하류 복원'을 요구하는 화북 주민들의 요청에 동참하는 시민단체가 늘고 있다. 제주참여환경연대에 이어 제주환경운동연합도 지지의 뜻을 밝힌 것이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8월 29일 일요일 성명서를 통해 "주민들의 '화북천 하류부 폐천부지 옛 물길 복원 요청' 청원을 지지한다"며 화북 주민들과 뜻을 함께했다.
제주의 하천은 흔히 '제주의 혈관'으로 비유되곤 한다. 제주 하천에 분포하는 수많은 소(沼)는 "수많은 생명을 품어 안고 있는 중요한 내륙습지"이기 때문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더이상 "하천을 토목건설의 대상"으로 보아선 안 된다며, 과거 수십 년간 제주에서 진행된 하천정비 사업들의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하천정비 사업이 오히려 하천을 파괴하는 결과를 낳았고, 이것이 "하천의 파괴를 넘어서 제주도민에게도 무서운 재난으로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화북천 범람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화북천은 1992년 화북 중계펌프장 건설 사업으로 일부가 매립된 바 있다. 그리고 매립 이후부터 하천 범람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화북천 범람 문제는 2007년 태풍 나리 때부터 주목받기 시작한다. 매립된 하천 주변으로 많은 양의 빗물이 넘쳤고, 인근 빌라 5동이 동시에 수해를 입었던 때다. 해당 빌라는 5동 모두 침수 피해가 심해 결국 철거되기에 이른다. 전에 없던 대규모 피해였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화북천 뿐만 아니라, "병문천, 한천, 산지천, 독사천 등 복개 하전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는 점을 거론하기도 했다. "2007년 태풍 나리는 하천 복개의 문제점을 비로소 되돌아보게 했고, 제주도 당국은 이제서야 하천 복개를 뜯어내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화북천의 경우 문제가 있음에도 행정의 답이 더디다. 하천 복원에 대한 목소리를 주민들이 내고 있지만, 행정은 묵묵무답인 것이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화북천의 하류는 복개보다 더 심한, 하천의 기능을 완전히 상실시킨 폐천의 사례"인 점을 강조하고 있다. "하천(화북천)의 물길을 막고 점용(중계펌프장을 건설)하여 '폐천'으로 만든 것이 부메랑으로 되돌아오고 있다"며, 문제를 지적한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원래 흐르고 있던 물길을 막아버렸으니 물은 갈 길을 잃어 주변 마을이 침수되는 일이 지속적으로 발생했다"면서 화북천 주변 주민들이 겪는 수해는 어쩌면 예견된 일일 거라는 의견을 전하기도 했다.

환경 오염 문제도 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폐천된 화북천 하류에 멸종위기종 기수갈고둥이 아직 서식한다며, "여전히 하천 생태계의 명맥을 끈질기게 이어가고" 있는 화북천의 가치에 주목한다.
이와 관련, 화북천 인근 주민으로 구성된 '곤을동 청정지역을 만드는 대책위원회(이하 '곤을대책위')는 8월 제주도의회를 찾아 "매립된 화북천 하류의 옛 물길을 복원해달라"는 내용의 청원서를 제출한 바 있다. 또 지난 6월엔 화북 중계펌프장 건설 사업이 불법으로 진행됐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하천부지 매립 또한 적법한 절차로 이뤄진 것이 아니라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제주환경운동연합은 "제주시는 아직까지도 납득할 만한 행정절차의 자료를 공개하지 못하고 있다"며 곤을대책위 의견에 공감을 표했다.
끝으로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화북천의 옛 물길 복원을 (위해) 주민들과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제주도의회와 제주도 모두가 말이다.
한편, 지난 8월 27일 제주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와 환경도시위원회 위원들은 각각 화북천을 찾아 현장답사를 진행한 바 있다. 이에 30일 제398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 1차 임시회 회의 자리에선 현재 화북천에서 시행 중인 '간이공공하수처리시설 공사'를 둘러싼 문제점이 집중적으로 제기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