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신공항'에 미 폭격기 배치도 ... 사실상 제2공항 해석

[미디어제주 고원상 기자] 국민의힘이 북한의 핵 공격이 임박할 경우 제주에 핵을 배치해야 한다는 내용을 논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평화의 섬’을 강조해왔던 제주를 핵을 배치한 전략기지화 한다는 내용이라 큰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북핵위기대응특별위원회는 26일 회의를 열고 ‘총력북핵 대응전략’을 보고서에 대해 논의했다.
이 보고서에는 ‘북한의 핵공격 임박 시 미국의 핵무기를 한반도에 전진배치를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러면서 핵무기를 한국에 배치할 시에는 제주가 최적이라고 밝혔다.
제주 이외에 다른 지역은 거리가 짧아 북한의 선제공격에 취약하고, 미사일 방어도 곤란하다 점이 이유다.
그러면서 제주 신공항 사실상 군사공항으로 만들자는 내용이 이어졌다. 제주에 미국의 전략폭격기 이착륙이 가능한 활주로를 건설하고, 핵무기 임시 저장시설 구축을 검토해야 하는데, 제주 신공항 건설 시 이를 고려해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기호 북해위기대응특별위원회 위원장 역시 기자들과의 회견 자리에서 "제주도 같은 경우 공항을 새로 만든다고 하면 그 공항이 우리가 전시에 북한 핵을 억제하는데 필요한 대형 수송기가 이착륙이 가능한 정도까지도 해줬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담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는 사실상 제주 제2공항을 순수 민간공항이 아닌 미군의 폭격기가 머무는 군사공항으로 겸하자는 취지로 해석될 수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제2공항과 관련해서는 지속적으로 군사공한 논란이 이어져왔었다.
이 보고서에는 이외에 한반도 배치가 위험할 경우 일본에 배치해 한·미·일이 공유해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고 있다.
아울러 “최악의 상황에서는 전진배치된 미 핵무기의 대여로 한국의 자체 핵무장과 동일한 효과를 확보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북한에 의한 핵위기가 임박했을 경우를 가정한 것이지만, 제주를 명시해 핵을 배치한 전략기지화 해야 한다는 점을 명시하고, 아울러 ‘신공항’을 군사공항으로 이용해야 한다는 점을 언급했다는 점에서 제주 사회에 큰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27일 오후 1시40분 이 내용과 관련해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