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27 09:10 (토)
1000여명 왜구 물리친 '제주대첩', 어떻게 기억해야하나?
1000여명 왜구 물리친 '제주대첩', 어떻게 기억해야하나?
  • 고원상 기자
  • 승인 2024.01.03 15: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대첩, 3일에 걸쳐 민‧관‧군 뭉쳐 왜구 물리쳐
김기환 의원, 기념사업 위한 조례안 제정에 나서
3일 관련 토론회 마련 ... "기념사업회 구성해야"
3일 오후 제주도의회 소회의실에서 '을묘왜번 제주대첩 의미와 가치전승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미디어제주.
3일 오후 제주도의회 소회의실에서 '을묘왜번 제주대첩 의미와 가치전승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사진=미디어제주.

[미디어제주 고원상 기자] 1555년 6월21일 지금의 제주시 화북 앞바다에 왜구들을 태운 40여척의 배가 모습을 보였다. 이어 6월27일 1000여명의 왜구가 화북포구를 통해 상륙, 지금의 거로마을과 사라봉을 거쳐 제주성으로 공격해 들어왔다. 이후 제주성을 중심으로 3일에 걸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왜구들은 지금의 제주성 동문과 사라봉 사이의 언덕에 진을 치고 제주성을 공격한 것으로 전해진다. 

왜구의 공격을 받은 제주민들은 똘똘 뭉쳤다. 민‧관‧군이 뭉쳤고, 당시 김수문 제주목사를 중심으로 왜구들의 공격을 버티고 맞서 싸우며 마침내 왜구들을 물리쳤다. 

당시 김수문 목사는 70여명의 효용군(驍勇軍ㆍ용맹한 군인)을 선발해 선제공격에 나서 적진으로 처들어갔다. 1000명의 왜구를 상대로 처들어간 70여명의 효용군은 적진을 휘몰아쳤다. 여기에 김직손‧김성조‧이희준‧문시봉 등 4명이 말을 타고 나가 적진으로 돌격해 들어갔다. 정병 김몽근은 화살을 날려 적장을 쓰러뜨렸다. 

1000여명의 왜구는 흩어졌고, 다시 바다로 도망간 왜구들 역시 격퇴됐다. 당시 적선 9척이 나포된 것으로 전해진다. 조선 시대 제주가 처음으로 겪은 대규모의 조직적 왜구 침입을 제주의 민‧관‧군이 하나가 돼 물리친 전무후무한 일이었다. 당시 임금이었던 명종(재위 1545~1567)은 이를 두고 '대첩'이라 명명했다. 이른바 '을묘왜변 제주대첩'이다. 

제주도의회에서 이 제주대첩의 의미를 보다 깊게 들여다보고, 그 가치를 기리기 위한 조례안이 만들어지고 있는 가운데 3일 오후에는 이와 관련한 정책 토론회가 마련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이제까지 을묘왜변 제주대첩을 기억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했었다는 점이 지적됐다.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제주연구원 현혜경 부연구위원은 "명종이 '대첩'이라 명명했음에도 대다수 도민들에게는 이 내용이 알려져 있지 않다"며 "'제주특별자치도지'에도 제주대첩 내용이 수록돼 있지 않고, 제주도교육청의 지역사회 이해 교육에서도 다뤄지지 않고 있다. 을묘왜변 제주대첩은 제주인의 자부심과 위상을 상징하는 장치가 될 수 있음에도 여전히 관련 작업은 미미하기만 하다"고 지적했다. 

현 부연구위원은 이어 을묘왜변 제주대첩이 제주의 중요한 역사문화자원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현 연구위원은 "제주대첩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 행사가 지역주민의 문화정체성을 증진시키고 지역사회의 화합을 도모할 수 있다"며 "특히 제주인의 기상을 보여주거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있어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역성을 드러내는 차원에서도 제주대첩은 제주를 비극적인 역사의 현장이 아닌 제주인들의 투지와 의지를 보여주는 현장으로 부상시킬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제주의 국제적 위상을 증진시키고, 관광도시로서의 품위 역시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외에도 제주대첩을 통해 문화예술계에 영향을 주고, 이를 연극이나 무용, 동화 등의 문화콘텐츠로 발전시켜 나갈 수도 있다는 점을 덧붙였다. 

현 연구위원은 이를 위해 "우선 교육 및 홍보의 체계적 구조 구축이 필요하다"며 "현재 제주대첩이 지역 사회 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만큼, 교육도 부재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이를 구축해야 한다. 특히 청소년 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고, 학교와 지역사회 등이 연계된 컨소시엄 구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당시 인물과 주민들의 생활상 등 다양한 스토리의 발굴도 필요하다"며 "아울러 아카이브를 구축해 제주대첩과 관련된 문서, 사진, 기록물 등을 교육자와 학자, 일반인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조례를 통해 제주대첩 기념사업을 전개할 기념사업회를 구성하고, 제주대첩을 알리고 활용하기 위한 후속사업에 이를 통해 다양한 이들의 참여를 이끌어낸 필요가 있다는 점도 덧붙였다. 

제주도의회 김기환 의원. /사진=미디어제주.
제주도의회 김기환 의원. /사진=미디어제주.

제주도의회 김기환 의원(더불어민주당, 이도2동갑)은 이번 토론회를 바탕으로 '을묘왜변 제주대첩 기념사업 등에 관한 조례안'을 보완해 발의할 예정이다. 

김기환 의원 역시 "을묘왜변 제주대첩은 제주인의 기상, 제주인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라면서도 "하지만 관련 조례 마련은커녕 지속적인 기억의 역사로 편입조차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에 을묘왜변 제주대첩의 역사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가치 전승 및 역사문화자원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토론회를 마련했고, 향후 조례안 재정을 통해 기념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