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27 09:10 (토)
제주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어, 해소는커녕 앞으로 더 심화?
제주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어, 해소는커녕 앞으로 더 심화?
  • 고원상 기자
  • 승인 2024.02.27 11: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0년 도내 출력제어율 2.7% ... 향후 25%까지 상승 전망
저장장치 등 만들어져도 발전시설 보급이 더욱 과다할 것 예상
사진은 한경면 앞바다에서 가동 중인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모습.
사진은 한경면 앞바다에서 가동 중인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모습.

[미디어제주 고원상 기자] 제주도내에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의 과다한 보급으로 인해 출력제어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이 문제가 앞으로 해소되기는커녕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2031년 이후엔 제주도내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4분의1이 출력제어로 멈춰설 것으로 전망됐다. 

제주도의회는 27일 제주 에너지 정책 현황 및 과제 내용을 담은 '정책연구 제7호'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제주도내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출력제어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제주도내에서는 2010년대 들어 태양광 발전시설과 풍력 발전시설의 보급이 이뤄지기 시작했지만, 이 발전시설에서 만들어지는 전력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뒷받침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전력계통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출력제어가 이뤄지기 시작했다. 

출력제어는 풍력발전에서 처음 발생했다. 2015년 3차례의 출력제어가 있었다. 그 이후 출력제어 횟수는 매년 큰 폭으로 늘었다. 2018년에는 15회, 2019년에는 46회, 2020년에는 77회의 출력제어가 있었다.

2021년에는 출력제어가 65회로 다소 줄어드는 듯 했지만, 2022년에는 132회로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2023년에는 출력제어가 더욱 심화됐다. 모두 181회의 출력제어가 있었다. 

특히 2021년부터 민간 투자가 이뤄졌던 태양광 발전에서 출력제어 문제가 발생하면서 '출력제어'가 논란으로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전까지는 공공에서 공급한 풍력발전에서만 출력제어가 있었지만, 2021년 민간 자본이 투입된 태양광 발전에서 1건의 출력제어가 나타났고, 2022년에는 28건의 출력제어가 나타났다. 2023년에는 전년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64회의 출력제어가 있었다. 

태양광 발전에 자본을 투입한 민간업자들은 원희룡 제주도정 당시 제주도의 적극적인 보급 행보에 따라 기존에 가지고 있던 밭 등을 태양광 발전 시설로 전환한 사례들이 있었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에서 출력제어가 발생하면서 민간의 성토 목소리가 더욱 컸다. 

제주도내 육상 풍력발전단지.
제주도내 육상 풍력발전단지.

제주도정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움직임에 나서기 시작했다. 그 중 하나가 제3연계선의 구축이다. 제주에는 현재 육지부에서 제주로 전력을 전송하는 2개의 연계선이 놓여 있다. 각각 1998년과 2014년에 구축됐다. 하지만 이 두 연계선은 한 방향으로 흐르던 전력을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힘든 것으로 알려졌다. 육지부에서 제주로 오던 전력을 멈추고 제주에서 육지부로 전송하는 것이 어려운 구조였다.

하지만 제3연계선은 전력의 전송 방향 전환이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제주에서 만들어진 잉여전력의 육지부 전송이 원할하게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고, 제주도내 출력제어의 해소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도 했다. 

이외에 도내에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의 구축 등도 이뤄지면서 출력제어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도 지난해 1월 '제주 에너지 대전환 로드맵'을 내놓으면서 "2024년 3월부터는 출력제어 문제가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실제로 정부도 제3연계선 등이 구축되면 제주도내 출력제어가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가 내놓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도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대비 출력제어 발전량을 나타내는 '출력제어율'은 올해 0%가 될 것으로 나타났다. 출력제어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태양광 발전의 출력제어로 논란이 되기 직전이었던 2020년 기준 출력제어율은 2.8% 수준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상당한 개선이다. 

다만 이 출력제어 '제로(0)'는 길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제주도내 구축이 될 것으로 보이는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이 또 다시 과도하게 보급되면서 출력제어율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 것이다. 

특히 현재 한림해상에서 100M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 시설이 공사중인데다, 어음리에서도 21MW 규모의 대규모 발전시설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외에 수망리에서 100MW의 대규모 태양광발전시설이 만들어질 전망이다. 태양광시설 면적만 해도 마라도의 2.4배에 달하는 상당한 규모다. 가시리에서도 48MW 규모의 태양광발전시설이 지난해 7월 승인된 바 있다. 

제주도내 최대 규모로 추진되는 수망태양광발전시설 조성사업의 부지. /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내 최대 규모로 추진되는 수망태양광발전시설 조성사업의 부지. /사진=제주특별자치도.

이처럼 상당한 양의 보급이 추진되고 있는데다,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제주도내에는 2036년까지 3931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공급이 계획돼 있다. 

2022년 기준 제주도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가 875MW 규모인 것을 고려하면 현재 규모의 4배 이상 발전 규모를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렇다보니 앞으로 출력제어율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 0% 수준으로 줄어든 출력제어율은 2027년 2.2%로 높아지고, 2030년 들어서는 18.98%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그 후 출력제어율은 더욱 높아져 3031년 25.54%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도내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4분의 1이 멈춰있게 된다는 뜻이다. 

출력제어율이 2.7% 수준이었던 2020년에, 출력제어로 생산되지 못하고 낭비된 전력량은 수소차 3100여대를 충전할 수 있는 양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고려하면 2031년까지 갔을 때 천문학적 수준의 전력이 보급과다로 낭비되는 결과가 초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결국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의 보급을 조절함과 동시에 생산되는 전력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저장장치 등의 보급 등에도 제주도정이 더욱 힘을 써야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