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28 00:55 (일)
지진해일시 해안 35개 마을위험 ‘매뉴얼은 지하가 대피소’
지진해일시 해안 35개 마을위험 ‘매뉴얼은 지하가 대피소’
  • 김정호 기자
  • 승인 2011.03.21 15: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명피해 지구에 ‘8483명 거주’...소방방재본부 건물조차 내진설계 ‘안돼’

 제주시 탑동의 월파모습. 용담2동 해안가 인명피해 우려지구에는 총 117가구에 276명이 거주하고 있다.
지진 해일에 따른 도내 해안가 인명피해 지구(마을)에 총 3101가구, 8483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정작, 인명피해 발생시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해야 할 소방방재본부 건물조차 내진설계가 안돼 있어 대응 매뉴얼을 재구성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제주도의회 복지안전위원회는 21일 오후 2시 3.11 일본대지진과 관련해 소방방재본부 주요현안을 보고 받았다.

소방방재본부의 보고자료에 따르면, 도내 해안변 취약지역은 총 35개 지구에 40개 지정대피소가 지정.운영되고 있다.

해안가 인명피해 우려지구에는 제주시 13개 지구 4046명, 서귀포시 25개 지구 4437명 등 총 8483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구별로는 제주시 조천읍 함덕지구가 515가구에 1390명이 거주해, 해일 발생시 피해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예측됐다.

서귀포시에는 성산읍 신양지구에 330가구 900여명이 거주해, 대피인원수가 가장 많았다. 가장 적은 곳은 강정포구지구로 4가구에 9명이다.

전체 35개 지구 거주자의 3.4%인 290명은 재해발생시 이동이 불편이 재해약자다. 인근 대피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지진해일에 따른, CCTV 설치도 미진한 수준이다. 도내 35개 인명피해 우려지구 중 포구에 CCTV가 설치된 곳은 전체 37.1%인 13곳에 불과하다.

 지진해일 발생시 상황실이 마련될 제주소방방재본부. 정작 이 건물 자체는 내진설계가 안돼 있다.
대피장소도 지형을 고려하지 않은 인근 초등학교와 마을회관 등으로 지정돼 피해를 오히려 키울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고 나오고 있다.

이선화 의원(한나라당)은 “대피장소인 마을회관은 지하공간이 포함돼 있다. 적절하다고 생각하냐”며 “지진.해일에 대한 대피 매뉴얼은 일본을 교훈삼아 최악의 시나리오로 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희수 의원(민주당. 삼도1,2/오라)도 시나리오별 구체적 대처방안에 강하게 주문했다.

박 의원은 “탑동지역에 쓰나미가 몰려 오면 중앙로 일대 남문로타리까지 물에 잠길 것”이라며 “종합적으로 보고만 할 것이 아니라 이런 기회에 실태조사를 해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지, 해일시 교량파손으로 고립되는 지역이 발생될 수 있다”며 “공항과 항만 붕괴에 따른 대책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철수 소방방재본부장는 이에 “지진 경보발령 후 30분 이내 대피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가 설정한 30분과 일본의 경우는 다르다”며 “향후 실태조사를 통해 대피장소를 전반적으로 재조사하겠다”고 말했다.

오영훈 의원(민주당. 일도2동)은 도내 건축물의 내진설계 문제를 집중 거론했다.

오 의원은 “지진.해일 발생시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소방방재본부도 내진설계가 안돼있다”며 “특히, 내진 설계가 안 된 학교를 대피장소로 지정하는 것도 쉽게 납득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도내 3층 이상 건축물 1만3427동 중 내진설계가 이뤄진 곳은 31.6%인 4253동이며, 학교는 전체 276동 중 11%인 30동에 불과하다.

<김정호 기자 / 저작권자 ⓒ 미디어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