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27 09:10 (토)
제주 4.3희생자 추정 유해 2구 발굴 ... 17일 운구제례 거행
제주 4.3희생자 추정 유해 2구 발굴 ... 17일 운구제례 거행
  • 고원상 기자
  • 승인 2023.08.16 10: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어버린 마을 '삼밧구석'에서 7~10세 추정 유해 발굴돼
향후 유전자 감식 과정 거칠 예정 ... "가족 품으로 갈 수 있게"
사진=제주특별자치도.

[미디어제주 고원상 기자] 제주4.3 희생자로 추정되는 유해가 추가 발굴됐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올해 4.3희생자 유해매장 추정지 조사를 통해 지난 7월 서귀포시 안덕면 동광리에서 4.3희생자 추정 유해 2구를 수습, 17일 제주4·3희생자유족회 주관으로 운구 제례를 거행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유해가 발굴된 잃어버린 마을 ‘삼밧구석’은 삼을 재배하던 마을이라 해 삼밧구석이란 이름이 붙여졌으며 4·3시기 46호의 주민들이 살던 마을로 임씨 집성촌이었다.

발견된 유해의 연령은 7~10세 전후로 판단되지만 유해의 잔존상태가 좋지않아 보다 면밀한 감식이 필요하며, 유해 2구 모두 머리뼈 부분을 중심으로 남아있고 사지골은 확인되지 않았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이 삼밧구석 이외에 인근의 잃어버린 마을인 ‘무등이왓’에서도 발굴 작업을 진행했지만 무등이왓에서는 유해가 나오지 않았다.

도는 유해 수습이 이뤄진 현장에서 17일 오전 10시 제주4·3희생자 유족회 주관으로 운구 제례를 거행한 뒤 유해에서 시료를 채취해 유전자 감식을 거쳐 희생자의 이름을 찾고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발굴 현장은 제보자의 증언을 기준으로 조사대상지를 선정했고 발굴은 올해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에서 추진 중인 ‘제주4.3희생자 유해발굴 및 신원확인을 위한 유전자감식’ 사업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제주4.3희생자 유해발굴 및 신원확인을 위한 유전자감식’ 사업은 2006년 제주국제공항에서의 유해발굴 때부터 시작됐지만, 본격적으로 이뤄진 것은 2016년부터였다. 2016년 이후  지난해에 걸쳐 모두 411구의 유해가 발굴됐고, 여기에 이번에 발굴된 2구의 유해를 더하면 413구의 유해를 발굴이 이뤄졌다. 이 중 지난해까지 141명의 신원이 확인됐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올해 확보한 8억7000만 원으로 유해 발굴과 유전자 감식, 유가족 채혈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유족들의 한을 해소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