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회 "무조건 반대는 안돼 ... 소통창구 일원화"
비대위 반발 "절차 정당치 않아" 법적 대응 예고

[미디어제주 고원상 기자] 월정리 마을회가 제주 동부하수처리장의 증설을 지속적으로 반대해온 동부하수처리장 반대 월정리 비상대책위원회의 해체를 결정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동부하수처리장 반대 목소리를 냈던 이들이 비대위 해체에 반발하면 법적대응 등을 준비하고 있어 이와 관련해 마을 내에서의 갈등으로 비화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마을회는 지난 19일 마을총회를 열고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공사 관련 비대위 해체 안건을 상정, 이를 통과시켰다.
김창현 이장은 <미디어제주>와의 통화에서 "월정리 주민중 동부하수처리장 증설공사에 찬성하는 분은 없다"면서도 "하지만 최근에 법원에서 공사방해금지가처분 신청이 인용된 것도 있고, 지금처럼 무조건적으로 반대만 해서는 안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에 따라 비대위 해산을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이장을 이어 “비대위의 해체가 동부하수처리장의 증설에 찬성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도청과 갈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마을회 차원으로 대화창구를 일원화하는 등 방향을 재설정하려는 것이다. 향후 마을회 차원에서 제주도정과 지속적으로 대화를 나누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월정리 마을회의 이와 같은 결정에 기존 비대위 측에서는 반발하고 있다.
기존 비대위를 이끌어온 황정현씨는 <미디어제주>와의 통화에서 이번 마을총회 자체가 정상적인 절차를 거쳐 이뤄진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황 씨는 “마을회 총회가 열리기 전에 미리 관련 안건이 올라와야 하고, 안건에 대한 토론 및 반대 측의 이야기를 듣는 과정도 있어야 하는데, 이와 관련된 내용이 전혀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마을회에서는 단순히 비대위가 만들어진지 1년이 지났으니 그만 해체하자고만 한다”며 “19일 열린 총회도 총회 도중 70여명이 자리에서 나가서 안건통과를 위한 과반수가 부족해진 상황이었는데, 하수처리장 증설 찬성 측에서 나간 사람들을 다시 설득하고 데리고 들어와 과반수를 채우고 총회를 진행, 안건을 통과시켰다”고 질타했다.
황씨는 그러면서 “이번 비대위 해체 결정은 반대 의견과 비대위 의견을 봉쇄한 채 이뤄진 일방적이고 기습적인 결정”이라며 “안건 상정과 투표 과정이 절차상 합당하지 않기에 이를 받아드릴 수 없다. 법적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렇듯 마을회에서 비대위 해체를 결정했지만 기존 비대위가 이에 반발하면서, 자칫 월정리 마을 내에서의 갈등으로 비화될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제주 동부하수처리장 증설사업은 현재 1일 최대 처리량 1만2000톤을 2만4000톤 규모로 늘리는 사업으로 2017년 9월 공사를 시작했지만 월정리 마을 주민들의 반대로 공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비대위 측은 특히 하수처리장 증설 공사에 문화재인 ‘용천동굴’ 등이 영향을 받음에도 공사가 강행되고 있으며, 제주도 등이 이와 관련해 일부 서류를 허위로 꾸몄다며 고발조치도 했다.
대규모 택지개발로 인구 급증지역엔 그 권역에 하수철장 신설하여 분산처리해줘야 기존 시설 증설 계속되면 화공약품 처리후 방류수도 바다로 방출이 증가로 인한 생태계 변화를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