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26 21:11 (금)
기고 제주가 지켜야할 농업유산, 제주밭담
기고 제주가 지켜야할 농업유산, 제주밭담
  • 미디어제주
  • 승인 2018.10.24 09: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고] 이성돈 농업기술원 기술지원조정과 농촌지도사
이성돈 농업기술원 기술지원조정과 농촌지도사
이성돈 농업기술원 기술지원조정과 농촌지도사

오는 11월 7일부터 13일까지 열리는 제주국제감귤박람회에 ‘감귤역사관’을 준비하고 있다. 제주농업의 역사를 정리하는데 수집된 자료 전부를 감귤박람회 역사관에 수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충분하게 담아내지 못한 이야기를 기고를 통해 전하고자 한다.

오늘은 우선 제주 밭담이다. 제주 농촌이 다른 지방 농촌보다 사뭇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제주도는 한반도 최남단에 있는 화산섬으로 돌이 많은 지형적 특성은 제주 섬의 척박한 농업환경을 상징하기도 한다. 그래서 한때는 농사일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정리되어진 부분도 있었으며 최근에는 개발의 뒷전으로 밀려 많이 손실되거나 훼손되어지는 실정이기도 하다.

제주밭담이 길이는 중국의 만리장성(6천400㎞)보다 훨씬 긴 약 2만2천108㎞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만리장성은 그 시대의 민초들이 집권자의 부역에 의해 조성되었지만 제주밭담은 제주 선조들의 스스로의 필요에 의해 가족단위 또는 제주만의 특색 있는 수눌음 공동체에 의해 쌓아졌다는 특징이 있어 역사적인 가치는 더욱 높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역사적 기록으로 고려시대(1234년) 제주판관 김구의 권장으로 경계용 밭담을 쌓기 시작했다고 기록되고 있지만 제주의 척박한 농업환경을 생각한다면 그 이전부터 밭담이 조성되었음은 짐작하고도 남을 일이다.

땅을 개간하면서 나온 돌을 이용해 담을 쌓아 동물과 바람을 막고 수분을 유지시키는 등 척박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제주선조들의 애환이 담겨 있는 특징이 있어 제주밭담의 유래는 고려 시대 판관 김구의 권장이 아니라 그 이전 제주농업의 역사와 일맥상통 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제주밭담은 마침내 2013년 국가중요농어업유산으로 지정되었고, 2014년에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 되었다. 제주 밭담은 그 자체가 악조건의 제주농업의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제주만의 독특한 농업유산이다. 또한 제주섬의 빼어난 농업문화경관으로 제주 농촌의 아름다움을 지키는 대표주자이며 1,500년 넘도록 제주 섬의 농업을 지키는 수호신이기도 하다.

앞으로 제주밭담은 보존을 전제로 문화관광, 농촌관광, 체험관광 등 제주도민을 비롯한 전 국민들에게 제주의 가치를 제공 할 수 있는 소중한 자산이 돼야한다는 생각이다. 제주농업의 역사와 맥락을 함께해 온 제주밭담은 전 세계의 농업유산으로 제주가 보전해야 할 가치가 있는 자원인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