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26 21:11 (금)
"제주 학교 공덕비에 숨은 이야기, 들어보실라우?"
"제주 학교 공덕비에 숨은 이야기, 들어보실라우?"
  • 김은애 기자
  • 승인 2018.06.21 11: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교육박물관, '우리학교 공덕비 이야기' 책자 발간
설치 현황 조사, 공덕비 내용 서술 등 1년 2개월 소요
제주교육박물관이 제주지역 학교에 세워진 공덕비를 소개하는 책자를 발간했다.

[미디어제주 김은애 기자] 공덕비는 선조의 공이나 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을 말한다.

우리는 오며가며 수많은 공덕비를 마주친다. 하지만 한자로 쓰여있기 때문에, 혹은 세월에 흐릿해진 글자 때문에 그 의미를 모두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제주교육박물관은 제주에 존재하는 수많은 공덕비 중, 학교에 세워진 비석 856기의 내용을 모아 쉽게 풀이한 「제주교육의 숨결 우리학교 공덕비 이야기」를 발간했다.

이석문 교육감은 지난 2017년 제주교육박물관에 대한 연두 업무보고에서 “각 지역 학교 태동과 발전의 역사가 각급 학교 공덕비 등에 새겨져있다. 그 공덕을 도민사회에 알리고 오래 기리기 위해 공덕비 등의 내용을 조사, 정리할 필요가 있다”며 “자료집 발간을 통해 아이들에게 학교 사랑과 배려‧나눔, 공동체 정신 등을 전할 수 있는 계기 교육도 확대할 것”이라며 공덕비 등의 내용 조사를 주문했다.

이에 따라 제주교육박물관은 편찬위원회를 구성, 조사‧집필 방향을 정했다. 그리고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도내 각급 학교의 협조를 얻어 학교에 있는 공덕비의 설치 현황 등을 전수 조사했다.

이후 학교 교직원과 박물관에서 위촉한 향토사학 및 전문가 등으로 조사위원(조사집필위원, 사진촬영위원, 교열위원, 편집위원 등)을 꾸렸다. 조사위원들은 약 8개월에 걸쳐 비문 해석, 비석 건립 배경 조사, 사진촬영, 교열, 편집 등을 진행했다. 특히 공덕비 등의 내용을 원형 그대로 사진으로 담아 보존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조사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비석 전면의 찬문(讚文)을 비면에 새긴 모습 그대로 옮기고, 찬문에 대한 국역은 문맥에 맞게 문단을 나눠 편집했다. 비석을 바라보는 위치에서 전‧후‧좌‧우(前後左右)면 사진과 재질‧크기 등을 자료집에 담았으며, 부록으로 공덕비 관련 용어 해설집도 발간했다.

제주도 전역 곳곳의 공덕비 자료를 수집해, 숨은 이야기를 발굴하는 작업은 장장 1년 2개월의 여정이었다.

조사 결과 학교 교정에 공덕비를 비롯한 비석을 보유한 학교는 141개교로, 총 856기가 세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별 공덕비 보유 학교 및 공덕비 수를 보면 △초등학교 73교 503기 △중학교 18교 97기 △고등학교 17교 69기 △폐지학교 33교 187기로 조사됐다. 반면 공덕비 등이 없는 학교는 94개교(초등학교 47교, 중학교 27교, 고등학교 13교, 특수학교 3교)로 조사됐다.

왼쪽부터 남읍초 비석 전면, 남읍초 비석 후면, 영평초 비석 전면, 영평초 비석 후면

공덕비 주요 내용은 학교 건립을 위한 부지 기증 및 부지 마련 기금조성, 학교 시설물 설립에 따른 기부 등이다. 마을주민(마을유지‧해녀 등) 및 마을 출신 해외 교포 등의 공덕‧송덕을 기리는 다양한 내용도 새겨져 있다.

현무암을 제외한 모든 돌이 귀했던 시절, 제주의 자연석을 이용해 글자를 새긴 공덕비는 역사적으로도 큰 가치가 있다. 공덕비에 새겨진 글자를 통해 옛 어르신들의 글씨체를 살펴볼 수도 있다.

김보은 관장은 “제주는 일제강점기를 거쳐 광복 이후 4.3과 6.25전쟁이라는 연이은 시련을 극복하고 남다른 교육열로 각 마을마다 학교 건립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됐다”며 “마을주민, 일본과 미국 등지에 재외교포들이 부지와 건립 기금 마련 등에 앞장섰다”고 설명했다. 

김 관장은“이분들의 공적과 이름이 남겨진 비석들은 숭고한 정신을 알리는 매개체이자 제주교육의 역사를 증명하는 귀중한 사료라고 할 수 있다”며 “공덕을 오래 기리고 기억하는 데 이번 자료집이 도움이 됐으면 한다. 자료집 발간을 계기로 공덕비 조사를 지속적으로 이어가며, 자료집을 더욱 보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주교육박물관은 책자를 각급학교와 유관기관에 배포, 향토교육 자료 및 계기교육 자료 등으로 적극 활용한다.

책자 구독을 원한다면, 사이버제주교육박물관(http://cyber.jjemuseum.go.kr/) 발간자료 코너에서 누구나 자료집을 열람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