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국제청소년의집, 민간기업 20년 장기 임대 논란

제주YMCA “설립 취지 훼손” 강력 반발 비상대책위 구성하고 계약 중단 등 요구

2025-11-25     김형훈 기자

[미디어제주 = 김형훈 기자] 한라산 1100도로 입구에 위치한 제주국제청소년의집이 민간기업에 20년간 장기 임대되면서 지역사회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

제주YMCA 제주국제청소년의집 정상화 비상대책위원회는 25일 성명을 내고 “한국YMCA전국연맹이 제주국제청소년의집을 서울 소재 민간 기업 ‘더숲’에 20년간 장기 임대 계약을 체결한 것은 건물의 본래 설립 목적을 정면으로 훼손하는 행위”라며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제주국제청소년의집은 지난 1985년 고(故) 김봉학 당시 제주YMCA 이사장의 비전으로 건립됐다. 김 이사장은 자신 소유의 천마목장 부지 약 4000평을 직접 출연했으며, 오사카YMCA와 제주 출신 재일교포들이 모금한 3000만 엔이 건립 자금으로 사용됐다.

특히 이 모금액의 80~90%는 4·3을 피해 일본 오사카로 피난 간 제주 출신 재일동포들이 고향을 향한 사랑으로 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 도민과 지역 소상공인, YMCA 회원들도 건립에 적극 참여하며 청소년 교류의 장을 만들었다.

건립 당시 제주YMCA와 오사카YMCA는 형제 관계를 맺었으며, 이후 40년간 한·일 청소년 교류사업을 해왔다.

비상대책위는 “제주국제청소년의집은 국제 청소년들의 리더십 향상과 교류를 목적으로 건립된 청소년 소통 공간”이라며 “유스호스텔로 용도 변경하고 요식업을 포함한 민간 기업에 20년 장기 임대하는 것은 Y정신과 문화적 정체성을 훼손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비상대책위는 아울러 “재일 제주 동포들의 고향 사랑이 담긴 모금 취지와 김봉학 이사장의 기증 정신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것”이라며 “전국YMCA 공동 자산이자 제주도민의 정신적 자산인 이 시설을 상업화하는 시도를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비상대책위는 한국YMCA전국연맹이 제주YMCA 및 지역사회와 충분한 소통 없이 일방적으로 민간 위탁을 결정했다고 주장했다. 비상대책위는 성명에서 △민간기업 20년 장기 임대 계약 즉각 중단 △상업화 시도 철회 △일방적 민간 위탁 계획 철회 △더숲의 모든 영업 계획 중단 △건립 목적에 맞는 운영 등을 요구했다.

비상대책위는 “한국YMCA전국연맹과 더숲이 정당한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제주 지역 시민사회와 연대해 강력한 대응에 나설 것”이라며 “제주도민들과 함께 반대 운동을 전개하고, 전국YMCA 네트워크에 이 문제의 심각성을 알려 본래 정체성을 되찾을 때까지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YMCA전국연맹과 더숲 측은 아직 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