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3-28 17:15 (목)
한라산 '경전철' 운행, 이것도 녹색성장정책?
한라산 '경전철' 운행, 이것도 녹색성장정책?
  • 윤철수 기자
  • 승인 2009.09.04 14:21
  • 댓글 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점] 저탄소 녹색교통 세미나서 제기된 '1100도로 경전철'

한라산 1100도로에 경전철이 다닐 수 있는 철로를 만드는 것이 친환경적일까, 아니면 현 상태의 도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환경적으로 바람직한 것일까.

제주특별자치도와 대한교통학회가 4일 서귀포시 안덕면 상창리 소재 세계자동차제주박물관에서 마련한 '저탄소 녹색교통 정책세미나'에서는 친환경 신교통수단의 도입과 관련해 제주 1100도로 등에 경전철을 도입하자는 의견이 제시돼 눈길을 끈다.

이날 토론회에서 김동선 대진대 교수는 '친환경 신교통수단 도입방안'이란 주제발표에서 제주 한라산 1100도로에 경전철 도입할 필요성에 대해 제언했다.

청정한 제주의 특성을 살리고 정부의 녹색뉴딜사업을 견인하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반영한 미래형 친환경 신교통수단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그의 연구는 '경전철'을 신교통수단의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버스와 지하철의 중간규모 수송수요를 갖는 경전철은 완전자동 무인운전을 통해 운영비를 절감하고 도시환경에 적합한 환경친화적 첨단도시 교통시스템이라는 것이다.

경전철은 기존 도시철도보다 다양한 규모의 수송용량을 갖추면서 차량의 회전반경 감소로 산악지형이 많은 지역에도 적용가능한 것이 특징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건설비용은 일반 토목공사비가 저렴하나 시스템비가 고가인 것이 도시철도와 비교되는 점이다. 최고속도는 시속 60km.

부산 김해 등 국내 추진사례를 설명한 김 교수는 제주에서도 1100도로를 대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제주시와 서귀포시 중문을 연결하는 35.1km 구간의 1100도로는 다른 도로에 비해 수요가 가장 많을 것이란 예측과 함께, 주요 관광지와 시설물을 경유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1100도로는 왕복 2차선 구간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일부 시스템의 경우 도로확장이 필요하나, 별도의 차선확장을 하지 않는 경우 바이모달을 포함한 BRT시스템이 도입 가능하다"고 말했다.

1100도로와 함께 제주시와 서귀포시 도심지를 적용대상으로 한 경전철 도입 방안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김 교수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내 집중된 교통량을 분산시키고, 주요 시설 및 거점은 꾸준한 수요가 발생함으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신교통수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내의 건물밀도와 교통량을 감안했을 경우 소규모의 신교통 수단이 도입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번 김 교수의 제언은 제언 그 자체로 받아들여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을 반영하는데 미래형 친환경 교통체계를 고민하는데 중요한 판단자료로 활용될 가치가 있지만, 실제 이의 실행을 전제로 할 경우 많은 논란이 예상된다.

이미 지난해 총선 과정에서 공항과 제주시내 도심지를 잇는 전철 제안이 논란을 산 바 있고, 민선시대 들어서는 한라산 모노레일과 같은 사업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특히 한라산 1100도로의 경우 차량 통행량이 다른 거점 도로에 비해 그다지 많지 않은 상황에서 경전철을 대안으로 할 경우 환경적 문제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철로시설을 하기 위한 토목공사과정에서 도로변 산림지역 훼손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래형 친환경 교통체계에 대한 제언을, 이번 정책세미나를 주최한 제주특별자치도가 어떻게 받아들일지가 주목된다.

한편 이날 정책세미나에서는 김 교수의 신교통수단 도입방안 주제발표에 앞서, 신용은 동의대 교수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제주특별자치도의 교통정책 방향'에 대한 주제발표도 있었다. <미디어제주>

<윤철수 기자 / 저작권자 ⓒ 미디어제주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4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뭐라? 2009-09-10 11:17:05
뭔 개발이다 하면 느껴지는게 하나 있습니다. 제주도가 그렇게 큰가? 골프장도 많고, 호텔도 들어서고, 케이블카도 하고, 이젠 경전철?도 하고..개발 나올때마다 드는 생각. 제주도는 정말 크구나. 저렇게 개발해도 또 개발할 곳이 있으니 말이다. 휴~~청정제주, 자연유산, 평화의 섬..이런거 다 때려치심이 차라리 이해가 더 잘된다는 것.

장난하냐? 2009-09-04 19:12:43
마지막 남은 한라산까지,남 얘기하는대로 다 파헤치고,하늘엔 주렁주렁 케이블카가 돌아다니고,천혜의 자연 한라산에 아예 스키장까지 만들지그래!!!!!그리고 중산간 마을엔 다 그린밸트 해제해서 숙박,모텔하고 호텔 다 허가해주고 그 오염원이 지하수를타서 서귀포 시민부터 다 죽이지 그래!!!아서라! 이 한심한 인간들아!!! 그까지 교수 입놀림에 제주도민 50만이 휘둘려야하냐!!!!!!!!!!!!!!!정신차려!!!!!!!!!!!!

시민 2009-09-04 16:05:43
영실에서 1700고지까지 불과 4km 구간의 케이블카는 수익성이 없음.
그래서 모노레일이나 경전철로부터 케이블카로 환승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됨.
문제는 경전철 건설비용을 어디에서 조달할 수 있는지 여부임.

경전철? 2009-09-04 15:47:22
통행량 많은데 설치해야, 그만큼 배기가스 배출이 줄어들어 녹색성장이지..노선버스도 2시간에 하나 다니는 1100도로는 뭐라...육지에 사는 사람들 데려당 개발사업 발표만 하잰 허는 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