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농공단지, 채용인원 83%가 타지인과 비농업인으로 나타나

또 농공단지에 입주한 기업도 지역부존자원을 활용하는 농수축산물가공업 보다는 절대다수가 일반제조업체로 구성됐다.
농림부의 당초 취지는 농업인에게 취업기회를 제공해 농외소득을 증대시키겠다는 것이었다.
국회 농림해양수산위원회 김우남 의원(열린우리당, 제주시.북제주군 을)이 농림부에서 제출한 '농공단지 사업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지난해 농공단지 입주기업의 전체 취업자 중 농업인의 취업은 17%로 전체 11만1833명중 1만8562명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율은 지난 2000년의 22%보다 5%나 줄어든 것이다.
이에 반해 타지역인들과 비농업인의 취업비율은 각각 47%와 36%로 총 83%에 달했다.
이처럼 농업인들의 취업비율이 미미하게 나타나자 농림부는 지난 2001년 '농공단지 활성화 대책'을 세워 추진했으나 이마저도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대해 김 의원은 "농림부가 추진하는 조성단가를 올리고 기준을 완화해 단지수를 증가시키는 등의 방법으로는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며 "농공단지가 농업인들의 실질적 소득원으로 자리매김되기 위해서는 해당지역의 특화자원을 면밀히 검토.발굴해 세밀한 마스터플랜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