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17 17:15 (수)
제주서 100회 훌쩍 넘은 '역대급' 출력제어, 대응책은 과연?
제주서 100회 훌쩍 넘은 '역대급' 출력제어, 대응책은 과연?
  • 고원상 기자
  • 승인 2022.11.23 14: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제주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어, 115회 기록
전년도 대비 77% 늘어난 수준, 두 배 가까워
제주도의회에서도 "대책 어떻게 되는가" 우려
사진은 한경면 앞바다에서 가동 중인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모습.
사진은 한경면 앞바다에서 가동 중인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모습.

[미디어제주 고원상 기자]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출력제어가 큰 폭으로 늘면서 올해는 역대 최대 수준인 100회가 넘는 출력제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제주도의회에서 이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23일 제주도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어 횟수가 100회를 넘어섰다. 풍력발전의 출력제어가 87회 이뤄졌고, 태양광발전의 경우 28회 출력제어가 있었다. 모두 115회의 출력제어가 있었던 셈이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큰 폭으로 늘어난 수준이다. 지난해에는 1년 동안 풍력발전의 출력제어가 64회 있었고, 태양광은 한 차례 있었다. 모두 65회로, 올해는 이보다 77%가 늘어났다. 

이와 같은 출력제어는 도내에서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이 급격하게 이뤄지는 가운데, 이를 뒷받침할 다른 인프라 시설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생기게 된 문제다. 태양광과 풍력발전시설의 과다한 보급으로 인해 전력이 지나치게 많이 생산됐지만 이를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마련되지 않았고, 이 때문에 전력계통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출력제어가 이뤄지게 된 것이다.

출력제어는 2015년 풍력발전에서 3회 이뤄진 것이 처음이었다. 그 후 출력제어 횟수는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기 시작해 2018년에는 15회, 2019년에는 46회, 2020년에는 77회의 출력제어가 있었다. 이랬던 것이 2021년에는 다소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가 올해 다시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100회를 훌쩍 넘기게 됐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제주도의회에서도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제주도의회 강충룡 의원(국민의힘, 송산·효돈·영천동)은 23일 열린 제411회 제주도의회 임시회 농수축경제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김창세 제주도 미래전략국장을 상대로 신재생에너지의 출력제어 문제를 지적했다.

제주도의회 강충룡 의원(국민의힘, 송산·효돈·영천동).
제주도의회 강충룡 의원(국민의힘, 송산·효돈·영천동).

강 의원은 “출력제어에 대해 이야기를 안할 수 없다”며 “지금 굉장히 늘어나고 있다. 그렇지만 태양광 사업이라든가 육상 및 해상 풍력사업도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걸 어떻게 해야 하는 건가”라고 물었다.

김창세 국장은 “제주도도 그것 때문에 고민이 많다”며 “다만 지금 국회에 올라가 있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올해 안에는 논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김 국장이 말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통과되면 중앙정부에서 분산에너지와 관련된 특구를 지정, 분산에너지와 관련된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주도에 따르면 산자부에서는 제주도를 특구로 지정하는 안에 대해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통과되고 제주도가 특구로 지정될 경우 제주도내에서 생산된 전력을 다른 지역으로 자유롭게 파는 등의 거래가 가능해진다. 이외에도 현재 한국전력에서 일괄적으로 조정하고 있는 전기요금을 제주도가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잉여전력 발생시 전기요금 조절을 통해 전기 수요를 조절, 잉여전력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김 국장은 “이와 같은 내용이 국회에서 잘 정리가 되면 출력제어 문제가 곧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강충룡 의원은 이에 대해서도 우려의 표시를 나타냈다. “제가 볼 때는 빨라도 2년에서 3년은 걸릴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지금 (신재생에너지 보급) 속도 조절을 하던가, 농업용 전기온풍기 사업 등으로 남는 전력을 돌릴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출력제어로 버리는 돈이 2030년까지 4000억에 달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며 “대응을 제대로 하지 않고 발전단지만 계속 추진하고, 중앙만 바라봐서는 안된다. 해야 할 일들이 굉장히 많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주도는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추진 이외에도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의 구축과 현재 공사가 이뤄지고 있는 제3연계선이 완공될 경우 출력제어 문제가 어느 정도는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제주도는 현재 2024년 운영을 목표로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내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제3연계선이 완성될 경우 제주도내에서 생산된 잉여전력을 자유롭게 육지부로 보낼 수 있어 도내 출력제어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