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3-29 00:04 (금)
제주도, ‘카본프리아일랜드 2030’ 비전 정책방향 손본다
제주도, ‘카본프리아일랜드 2030’ 비전 정책방향 손본다
  • 홍석준 기자
  • 승인 2020.06.25 10: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그린뉴딜 정책과 연계, 패러다임 전환 모색하기 위한 T/F 가동
제도개선‧정책 지원 등 적극 건의 … ‘그린뉴딜 지역선도도시’ 추진
제주도가 카본프리 아일랜드 2030 정책 비전을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과 연계, 본질적인 방향성을 재정립하기 위한 논의에 본격 착수했다. 사진은 제주특별자치도 도청 청사. /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가 카본프리 아일랜드 2030 정책 비전을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과 연계, 본질적인 방향성을 재정립하기 위한 논의에 본격 착수했다. 사진은 제주특별자치도 도청 청사. /사진=제주특별자치도

[미디어제주 홍석준 기자]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과 연계, 제주도가 그동안 보급 확산 정책에 집중돼온 제주 카본프리 아일랜드 2030 비전의 정책 방향을 다듬기 위한 사전 준비에 착수했다.

지난 2012년부터 시작된 제주도의 CFI2030 계획이 중대한 전환점에 놓이게 된 셈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최근 정부 및 국회에서 추진‧검토중인 그린뉴딜 정책의 제주의 카본프리2030 비전과 연계해 청정에너지 시스템 구현이 재도약 기회로 삼기 위해 최근 ‘CFI 지속가능 대응 T/F’를 구성, 운영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T/F는 지난 5월 19일 에너지기술평가원 제주분원, 한국전력공사 제주본부, 전력거래소 제주본부, 제주연구원, 제주에너지공사, 제주테크노파크 등 6개 외부기관 전문가 15명으로 구성됐다.

이후 28일 첫 회의를 가진 것을 시작으로 매주 T/F 회의를 개최, CFI 정책과 연계한 지역단위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도내외 환경 변화에 대응해 정부 그린뉴딜 시책을 적극 선점하기 위한 추진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지금까지 3차례 열린 회의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CFI의 본질적인 방향성을 재정립하기 위해 기존 신재생에너지와 전기차 보급 확산 정책에서 전환 정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데 따른 정책적 모델링을 발굴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또 화력발전 의존도를 탈피하고 재생에너지 수급 확대를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 저장장치)와 V2G(Vehicle to Grid, 전력망 연결), VPP(Virtual Power Plant, 가상발전소) 등 유연성 자원을 적극 활용하기 위한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이와 함께 CFI 정책 방향을 환경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 경제적 가치 순으로 선정해 지향해 나가는 한편 ‘가가호호(家家戶戶, 플래그쉽)’ 형태의 분산 에너지원으로 도민의 생활밀착형 에너지정책 참여 방안도 논의됐다.

제주도는 이달말까지 지속될 예정인 T/F 활동을 통해 정리된 내용을 토대로 제도개선과 정책 지원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중앙부처와 국회에 적극 건의하고 절충에 나서는 등 설득 노력을 펼쳐나가기로 했다.

또 자체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면밀한 내부 검토와 관련기관 등과 협의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도민 생활 속에 저탄소 패턴을 정착시키기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제주를 그린뉴딜 지역선도도시로 추진하는 방안 등을 적기에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노희섭 도 미래전략국장은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이 제주에는 매우 중요한 기회”라며 “정부 정책과 연계성을 통해 제주 카본프리 정책 재도약의 전환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