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20 10:04 (토)
7~8백년 전 중국과의 해상교류 흔적을 찾는다
7~8백년 전 중국과의 해상교류 흔적을 찾는다
  • 홍석준 기자
  • 승인 2020.06.02 10: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국립제주박물관, 제2차 공동 발굴조사
2일 오후 개수제(開水祭) 행사 시작으로 본격 발굴조사 시작
제주 신창리 해역 1차 수중발굴조사 때 모습. /사진=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주 신창리 해역 1차 수중발굴조사 때 모습. /사진=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미디어제주 홍석준 기자] 제주 신창리 해역에 대한 발굴조사가 2일부터 다시 시작된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와 국립제주박물관(관장 김유식)은 2일 오후 개수제(開水祭) 행사를 시작으로 신창리 해역 수중 유적에 대한 제2차 공동 수중발굴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신창리 수중유적은 1983년 3월 해녀가 조업을 하다가 발견한 금제 장신구를 신고하면서 처음으로 그 존재가 알려졌다.

그 해 4월 문화재청의 전신인 문화재관리국에서 수중조사를 진행, 금제 장신구 2점을 추가로 발견했고 1997년 제주대학교박물관에서도 이 해역에 대한 추가 조사를 벌여 중국 남송 시대 도자기를 확인한 바 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이후 2018년 9월 신창리 해역에 대한 수중지표조사를 통해 남송대 도자기가 분포하는 구체적인 범위를 파악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국립제주박물관과 제1차 공동 조사를 실시해 남송 시대 도자기 437점과 인장 2점, 인장함 1점을 확인하는 성과를 거뒀다.

신창리 해역에서 확인된 유물은 대부분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초 중국 저장성(浙江省) 룽취안요(龍泉窯)에서 생산된 청자들이다. 중국에서 생산된 도자기들이 다량 확인된 만큼 과거 바닷길을 오가던 국제무역선이 제주 앞바다에서 침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1차 수중발굴조사에서 발견된 인장 한 점에는 인면(印面)에 ‘삼가 봉한다’는 의미의 ‘謹封(근봉)’이라는 명문과 붉은 인주가 선명하게 남아있어 당시 해상교역 활동의 일면을 밝혀낼 수 있었다.

이번 2차 수중발굴조사에서는 1차 조사의 연장선상에서 신창리 해저 유물 분포 양상을 파악하고 연구자료도 확보하면서, 도자기를 싣고 있던 선박의 잔해를 찾는 작업이 함께 진행될 예정이어서 조사를 통해 더 많은 해상교류사 연구 자료가 확보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코로나19로 인해 당초 계획보다 2개월 늦춰 시작되는 이번 조사에서는 조사선인 ‘누리안호’에 승선하는 승무원, 조사원 등 전원이 코로나19 감염증 검사를 사전에 시행하고 출항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