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재해 위험 처하게 하는 건설 계획 즉각 철회해야”
[미디어제주 이정민 기자] 행정안전부가 제주 제2공항 건설 시 홍수 등 재해 우려 의견을 냈음에도 국토교통부가 행안부와 협의를 완료, 재해 영향 없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데 대해 시민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했다.
제주제2공항백지화전국행동·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한국환경회의는 15일 공동 성명을 내고 제주 제2공항 사업의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앞서 행안부는 제주 제2공항 건설 시 홍수 유출량 증가에 따른 위험 요인이 가중될 것이라는 입장을 국토부에 전달했고, 국토부는 지난 14일 설명자료에서 "행안부와 협의를 이미 완료, 협의결과에 따라 향후 설계과정에서 보완내용을 충실히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주제2공항백지화전국행동 등은 이에 대해 "제주 제2공항 건설로 재해 위험이 높아진다면 개발 계획을 재검토 하는 것이 정상임에도 국토부는 행안부와 협의했으니 문제가 없다는 식이다"고 지적했다.
또 "국토부는 설명자료에서 '재해영향성 검토에 대해 행안부와 협의를 이미 완료했고 기본계획(안) 및 전략환경영향평가서(안)에 기반영됐다'고 했지만 사실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국토부가 협의 요청 공문을 보낸 시점이 지난 3월 18일이고 행안부의 '지해영향성검토 협의 결가 통보' 시행 일자가 4월 14일인데 지난해 작성된 제2공항 기본계획(안) 및 전략환경영향평가서(안)에 '이미 반영됐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것이다.
더불어 "국토부의 어처구니없는 행태가 이 번 뿐이 아니다"며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가 지난 4월 29일 발표한 제2차 동굴 및 숨골 조사 결과를 예로 들었다.
국토부의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에는 제주 제2공항 예정지 내 8곳이 숨골만 분포하고 있다고 했지만 지난해 1차 조사에서 지역 단체와 주민이 발견한 것이 61곳이고 2차 조사에서는 75곳이 발견돼 국토부의 조사가 부실 의혹을 갖기에 충분하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이에 따라 "행안부의 '재해영향성검토 협의 결과'가 간과해서는 안 되는 재해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며 "국토부는 '재해 영향 없이 추진하겠다'는 오만이 아니라 이제라도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로 한) 제2공항 입지 선정이 잘못됐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제주 제2공항 사업은 국고 5조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이지만 입지 부적정성에 따른 재검토 요구가 지속돼 왔다"며 "국토부는 부실 조사도 모자라 주민을 재해 위험에 처하게 하는 제2공항 건설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역설했다.
아마 내일이라도 서부 한림읍에 공항 착공한다고 하면, 제주도에는 아무런 갈등이 없다고 바로 공항 착공한다고 하겠지. 제주 동부 쪽에 제2 공항 착공한다고 하니, 환경 파괴라고 한다.
제주 서부 땅값 떨어진다는 소문이 벌써 돌고 있다. 박원철이가 찬성하겠니? 제주도는 화산 섬이라 내 집 앞 마당 파도 100% 숨골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