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19 16:27 (금)
선정비를 세웠다고 다들 잘한 것은 아니지요
선정비를 세웠다고 다들 잘한 것은 아니지요
  • 김형훈 기자
  • 승인 2019.01.10 16:25
  • 댓글 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아리 ‘청춘예찬’ 일기] <13> 화북 비석거리

화북 서쪽 거리에 13개 비석 줄줄이 세워져
울릉도를 지킨 이규원 목사가 가장 유명 인물
구재룡은 목사에서 파직당했어도 선정비 혜택

[미디어제주 김형훈 기자] 비석을 세우는 이유는 뭘까. 다름 아닌 ‘기록’을 남기려는 이유에서다. 기록은 분명 중요하다. 세상에 태어난 이유 역시 그렇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하는 그런 이유 말이다.

죽은 이를 위해 비석을 세워주는 일은 그 사람에 대한 최후의 기록물이다. 그렇다고 죽게 되었을 때만 비를 세워주진 않는다. 살아있을 때 비석을 세워주기도 한다. 화북동에 그런 비석만 모아둔 거리가 있다. 우린 흔히 ‘비석거리’라고 부른다. 오현고에서 바닷가로 난 길을 따라가다 보면 비석거리를 만나게 된다.

대겐 마을회관에 비석이 줄줄이 놓인 걸 볼 수 있다. 마을회관에 있는 비석들은 해방 이후에 세워진 게 상당수를 차지한다. 그와 달리 비석거리에 있는 비석은 조선시대 것이기에 역사성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화북 비석거리에 있는 비는 모두 13개이다. 그 가운데 하나는 비문이 완전 녹아내려 보이질 않는다. 얼마전 설명했던 김정 제주목사 비석처럼. 비문이 보이지 않는 비석을 제외하면 모두 12개. 이 가운데 10개는 제주목사 선정비이며, 하나는 제주판관, 나머지 하나는 조방장 비석이다. 조방장은 화북진성을 지키는 대장이 된다.

12개 비석 가운데 가장 유명한 인물을 꼽으라면 이규원을 택하고 싶다. 그런데 아이들은 고개를 갸우뚱할 것 같다. 이규원? 이렇게 말이다. 그렇구나. 조선시대 이규원을 알 아이들이 대체 몇이나 될까. 전국적으로 물어봐도 다들 모른다고 할테다. 그럼 이 사람은 어때? 안용복이라는 인물. 이 정도는 알지 않을까. 조선중기 울릉도를 지킨 인물이 바로 안용복 아니던가. 조선중기에 안용복이 있다면, 조선후기엔 이규원이 있다.

화북 비석거리에 있는 이규원 목사 관련 비석. 미디어제주
화북 비석거리에 있는 이규원 목사 관련(가운데) 비석. 미디어제주

이규원이 있을 때 조선은 어땠을까. 고종 때여서 조선은 각종 외압에 시달리고 있었다. 그런데 고종인 이규원에게 울릉도감찰사라는 특별한 임무를 줬다. 그런 직을 수행한 건 조선을 통틀어 이규원이 유일했다. 고종이 그에게 울릉도감찰사라는 임무를 준 이유는 있었다. 19세기 후반에 일본인들이 울릉도에서 잦은 불법 점거를 하자, 울릉도 문제 해결을 위해 고종은 그를 찜했다.

일은 잘 해결됐다. 고종은 울릉도 문제를 해결한 이규원을 불러들였고, 그 다음에 맡긴 일은 제주목사였다. 그때가 1891년이다.

이규원은 제주목사로 내려와서 제주사람들의 어려운 사정을 중앙에 호소하기도 했다. 추자도에서는 쌀이 나지 않는데, 세금을 쌀로 내게 하니까 섬의 백성을 돌보는 뜻에 어긋난다며 상소를 올렸다. 제주에 기근이 발생하자 호남에서 곡식 1000석을 긴급 수혈받게 하기도 했다.

이규원 목사와 관련된 유물은 현재 국립제주박물관에 잘 보관돼 있다. 이규원 후손들이 지난 2002년과 2002년에 관련 유물을 기증했다. 이규원 관련 유물은 호패를 비롯해 모두 351점이다. 이들 유물 가운데 울릉도에서 기록을 담은 <울릉도검찰일기>도 포함돼 있다.

이규원은 일을 잘했던 인물로 선정비를 받을만했다. 그런데 다들 그런 건 아니다. 제주목사로 구재룡이라는 인물이 있다. 화북 비석거리에 그의 선정비가 있다. 그는 1839년 제주목사로 부임해서 1841년 파직된다. 대체 어떻게 했길래 파직됐을까. 1840년 마지막 날이었다. 엄청 추웠을텐데, 영국 배 2척이 가파도에 침입해서 소를 훔쳐가는 사건이 발생한다. 구재룡 목사는 그 사건에 잘 대처를 하지 못했고, 때문에 제주목사 직에서 물러난다. 그런데 왜 그런 인물에게 선정비를 줬을까. 확실하진 않지만 그의 동생인 구재인이 제주판관으로 오게 된다. 구재인이 형을 위해서 만든 건 아니었을까.

선정비가 세워졌다고 해서 다들 일을 잘한 건 결코 아니다. 더구나 비를 세우는 데는 엄청난 돈이 들어간다. 비석을 세울 돈을 마을에 할당하기도 하고, 비석 재료에 쓰일 돌을 구하는 일도 만만치 않았다. 선정비를 세우려다가 백성들만 힘들게 된다. 어쩌면 화북 비석거리엔 그런 사연도 담겨 있다는 점을 알았으면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5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강창룡 2019-01-25 11:03:27
따라서 ‘선정비가 세워졌다고 해서 다들 일을 잘한 건 결코 아니다’라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제주도민들은 구재룡 제주목사가 헌종 5년(1839) 3월에 부임하여 헌종 7년(1841) 3월에 파직되어 떠난 후(3월)과 2달후(5월) 및 9월 후(12월), 1년 1월 후(이듬해 4월)에 비석을 세웠기 때문이다, 그리고 구재룡 제주목사가 부임한지 8개월 후에 『삼읍 호적인구곡급 통적미 구폐절목(三邑戶籍人口穀及統籍米捄獘節目』과 1년 후에 「대정 · 정의 각포 수세곽 혁파절목(大靜旌義各浦水稅藿革罷節目)」을 만들어 제주 세 고을의 각 마을에 발급하여 시행토록 하여 제주 세 고을 백성들의 고통을 해결해 준 사실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강창룡 2019-01-25 09:40:58
그리고 헌종 6년(1840)에 구재룡 제주목사(겸방어사)가 대정현과 정의현의 해촌(海村) 각 마을에 발급한 「대정 · 정의 각포 수세곽 혁파절목(大靜旌義各浦水稅藿革罷節目)」이 있다. 이 절목은 그 당시 대정현과 정의현의 관내의 각 포구(各浦)에서 내는 수세곽(水稅藿)과 제주목의 관내의 각 포구(各浦)에서 내는 일용곽(日用藿)을 바치는 것을 영구히 혁파하였다는 내용이다.

강창룡 2019-01-25 09:39:30
또한 헌종 5년(1839) 11월에 구재룡 제주목사(겸 방어사)가 제주 세 고을의 각 마을에 발급한 『삼읍 호적인구곡급 통적미 구폐절목(三邑戶籍人口穀及統籍米捄獘節目』이 있다. 이 절목은 그 당시 제주목 · 정의현 · 대정현 등 세 고을에 호적(戶籍)이나 통적(統籍)을 글을 고칠 때(改修) 에 그 수수료 명목(帳籍書債)으로 사람마다 내는 3되의 곡식인 인구곡(人口穀)과 집집마다 내는 1되의 쌀인 통적미(統籍米)를 한꺼번에 받아들였다. 이를 재임 중 구재룡 제주목사가 그의 봉급[廩料] 550여 냥을 내놓아 보탠 돈[捐廩錢]과 별도로 갖춘 곡식[別備穀] 등으로 대체하도록 했다는 내용의 절목이다.

강창룡 2019-01-25 09:38:54
②제주시 도남동 707-1번지에 있는 비석은 전면에 '牧使具公載龍愛民善政碑', 후면에는 '道老里 道光 二十一年 五月 日'이라 적혀있다. 곧 헌종 7년(1841) 5월에 도로 마을 사람들이 세운 것이다. ③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연사박물관에 있는 비석은 전면에 ‘使相具公載龍淸德善政碑’, 후면에는 道光 二十一年 三月 日‘이라 적혀 있다. 곧 헌종 7년(1841) 3월에 세운 것이다. ④조천읍 선흘리 마을회관에 있는 비석은 전면에 ’牧使具公載龍去思碑‘, 후면에 ’道光 二十一年 十二月 日‘이라 적혀 있다. 곧 헌종 7년(1841) 12월에 선흘 마을 사람들이 세운 것이다. ⑤제주시 조천읍 와산리 1166-4번지 와산운동장에 있는 전면에는 ‘使相具公載龍淸德碑’, 뒷면에 ‘道光壬寅孟夏 臥山里’ 곧 헌종8년(1842) 음력 4월에 와산 마을 사람들이 비석을 세운 것이다.

강창룡 2019-01-25 09:38:18
제주시 화북1동 3957번지 화북비석거리에 있는 비석은 전면에 ‘牧使具公載龍去思碑‘, 후면에 ’咸豊七年丁巳 十二月二十五日 書‘로 보아 철종 8년(1857) 12월 25일에 글을 써서 세운 것이다. 이를테면 구재린(具載麟) 제주판관은 철종 8년(1857) 10월에 부임하여 철종 9년(1858) 10월에 파직되어 떠났다. 이는 바로 구재린(具載麟) 제주판관이 그의 형을 위해서 ‘牧使具公載龍去思碑‘를 세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구재룡 제주목사의 선정비는 현재 제주도내 8기가 남아 있다 이 8개 가운데 비석 중에 연대가 밝혀진 것은 다음과 같다. 구재룡 제주목사와 관련된 비석 중에 ①구좌읍 김녕리 김녕비석거리에 있는 비석은 전면에 ‘使相具公載龍恤民善政碑’ 후면에는 ‘道光 二十一年 五月 日’이라 적혀 있다. 곧 헌종 7년(1841) 5월에 감녕 마을 사람들이 세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