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3-29 17:52 (금)
“연산호 훼손 없다던 해군, 검증도 안된 복원사업 진행”
“연산호 훼손 없다던 해군, 검증도 안된 복원사업 진행”
  • 홍석준 기자
  • 승인 2017.02.02 13: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정 앞바다 연산호 군락지 훼손, 해군 용역 보고서 통해 처음 확인
제주 연산호 TFT 성명 “환경부, 중장기적인 로드맵 마련하라” 촉구

제주해군기지 건설 사업으로 인한 연산호 훼손이 없을 거라고 했던 해군이 훼손된 연산호 복원 사업을 몰래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강정마을회와 제주해군기지 전국대책회의, 군사기지저지 범도민대책위는 2일 제주연산호 TFT 명의로 낸 성명을 통해 “환경부와 문화재청이 관리 감독에 손을 놓은 사이에 강정 앞바다의 연산호 훼손은 더 이상 숨길 수 없는 상황이 됐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특히 해군은 제주해군기지 건설 공사를 시작한 2011년부터 연사호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를 제출해 왔지만 단 한 차례도 기지 건설로 인한 연산호 군락지 훼손을 인정하지 않아 왔다.

하지만 제주연산호 TFT가 입수한 ‘제주 민군복합형관광미항 주변 천연보호구역 연산호 생태 사후조사’(해군본부, 2015년 10월) 보고서에서는 제주해군기지 공사로 인한 연산호 훼손이 구체적으로 언급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강정등대 남단 90m, 수심 15m 지점에 있는 수중동굴의 모습. 사진 위가 2008년, 사진 아래는 2015년 촬영한 모습이다. 이곳은 대형 자바리의 서식지로도 잘 알려져 있다. 동굴 입구의 안쪽과 바깥쪽에는 큰수지맨드라미와 분홍바다맨드라미가 잘 발달돼 있다. 하지만 동굴 안쪽과 바깥쪽을 비교 촬영한 사진을 보면 연산호 개체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고 그나마 생명을 유지한 연산호 역시 먹이활동이 원활하지 못한 모습이다. ⓒ 제주연산호TFT

이 보고서는 문화재청이 2014년 6월 해군 측에 요구해 진행된 용역 사업으로,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성균관대 산학협력단의 조사 내용이 담겨 있다.

성균관대 조사팀은 보고서에서 “해군기지와 가장 인접한 강정등대는 세 개의 Impact 지역(강정등대, 기차바위, 범섬) 중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환경 영향을 받은 지역으로 나타났다”면서 “50% 이상의 지표생물군에서 상대적인 감소가 발생했으며 특히 최우점종인 분홍바다맨드라미의 상대적인 감소가 두드러진다. 주요 해조류인 감태 역시 타 Impact 지역에 비해 높은 감소량을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

기지 건설로 인한 강정등대 연산호 군락지의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타 지역은 전체적으로 산호충류의 출현 종 수가 증가했지만 강정등대 해역은 2009년 19종에서 2015년 10종으로 출현 종 수가 감소했다(15쪽) △산호충류 중 분홍바다맨드라미는 2009년 2월과 7월에 각각 17.47%, 9%의 피도를 보인 반면 2015년에는 각각 11.71%, 0%의 피도를 보이며 감소했다(117쪽) △밤수지맨드라미는 2009년 2월과 7월에 각각 0.6%, 0.4%의 피도를 보인 반면 2015년에는 각각 1.17%, 0%의 피도를 나타냈다(122쪽) △검붉은수재맨드라미의 각 시기별 평균 피도는 2009년 2월, 7월에 각각 5.6%, 0.33%로 나타났으나 2015년에는 두 시기 모두 피도 0%를 보이며 출현하지 않았다(125쪽) △해송류의 경우 2009년 2월, 7월에는 각각 0.47%, 0.33%로 나타나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2015년에는 두 시기 모두 0%의 피도를 보이며 출현하지 않았다(132쪽) 등의 내용이 수록돼 있다.

보고서에 언급된 밤수지맨드라미, 검붉은수지맨드라미, 자색수지맨드라미는 모두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이고 해송류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이면서 동시에 문화재청이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는 종이다.

2008년(사진 위)과 2015년 강정등대 남쪽 30m, 수심 15m 지점에서 촬영한 사진. 큰수지맨드라미(사진 좌우)와 감태 군락(사진 후)이 사라졌고, 둔한진총산호(사진 중,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는 각종 퇴적물이 쌓여 앙상하게 골축만 남겨진 상태로 죽었다. ⓒ 제주연산호TFT

이처럼 연산호 훼손이 심각해지자 해군은 지난해부터 향후 3년간 연산호 복원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세워 테트라포트 12기를 강정등대 해상에 투입, 인공 복원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다.

제주 연산호 TFT는 이에 대해 “성균관대 조사팀도 ‘방파제용 TTP를 해양 저서생물 군집복원용으로 사용한 사례는 아직 국내외적으로도 없다’(165쪽)며 ‘선택사항’으로 제안하고 있다”면서 “서귀포 앞바다 조류의 흐름을 막고 각종 부유물 등 오염원을 발생시키는 제주해군기지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 없이 세계 최대의 연산호 군락지를 복원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TFT는 “지금이라도 환경부는 멸종위기 산호충류의 훼손과 보전에 관한 로드맵을 작성해야 한다”면서 문화재청에도 강정등대와 서건도, 기차바위, 범섬 일대에서 독자적으로 전면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해군이 추진중인 연산호 복원 사업의 타당성을 검증할 것 등을 촉구했다.

2007년(사진 위)과 2015년 서건도 남단 100m, 수심 13m 지점의 수중동굴 우측 부분을 비교 촬영한 사진. 분홍바다맨드라미의 개체수와 밀도 변화, 생육 상태를 눈으로 비교 확인할 수 있다. ⓒ 제주연산호TFT

<홍석준 기자 / 저작권자 ⓒ 미디어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