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3-29 17:04 (금)
15년 후 공원의 모습은?..."돈이 문제죠"
15년 후 공원의 모습은?..."돈이 문제죠"
  • 박성우 기자
  • 승인 2010.08.18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5년 제주시 공원녹지 계획 시민공청회의 전문가 시각은?
1인당 공원부지 15.1㎡ 목표...예산-불균형 해소 관건

15년후 제주시의 공원은 어떤 형태를 띄고 있을까?

2025년 모든 시민들이 공원으로 인한 복지혜택을 누릴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제주시는 '법정 공원녹지 기본계획'을 세웠다.

제주시는 지난 5월19일 수립용역을 착수,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18일 오후 2시 제주시 벤처마루 10층 백록담홀에서 '2025 제주시 공원녹지 기본계획 주민공청회'를 개최했다.

공청회는 15년을 바라보고 시행하는 사업의 대략적인 개요를 설명하고 이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마련했다.

이 자리에는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의 김문홍 교수가 좌장으로 나선 가운데 제주발전연구원 엄상근 박사와 제주도의회 류성필 환경도시위원회 정책자문위원,  제주생태연구소 현원학 박사가 토론자로 참여하고 사업계획에 대해 제언했다.

제주시 전 지역을 대상으로 마련한 이번 계획안은 아직 사업 초기인터라 세부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결정된 바 없지만, 공원조성과 관련한 향후 제주시의 방향을 읽을 수 있는 자리로 마련됐다.

# 공원조성, '지역별 불균형 해소'가 관건

공원녹지 기본계획안은 현재 산재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캐내는데 부터 시작됐다.

가장 두드러진 문제점은 생활권별 공원 서비스의 불균형이다. 동 지역을 위주로 공원이 편중된 것.

제주시에 분포된 총 185개소의 공원 중 동지역에만 160개소가 밀집했다. 면적으로 따져봐도 총 공원면적 696만9000㎡중 동지역으로 537만4000㎡의 공원이 몰렸다.

읍면지역으로만 대상을 한정해도 문제는 나타났다.

1인당 주어지는 공원 면적의 법정기준은 6㎡. 하지만 조천읍과 한경면의 경우는 1인당 공원면적이 각각 4.1㎡, 2.7㎡에 불과해 법정기준에도 못 미치는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한림읍과 구좌읍의 경우는 각각 39.6㎡, 30.6㎡의 수치를 기록하며 지역별 서비스의 불균형을 나타냈다.

공원 미조성률이 높은 지역의 경우 불만족도 또한 비례적으로 높아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 소외지역에 관한 문제점도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용역조사 결과 건입동, 용담2동 구도심지역 일대, 김녕해수욕장, 구좌읍, 하귀2리, 신엄리, 애월리 등이 대표적인 서비스 소외지역으로 꼽혔다.

이 지역들은 근린공원이나 어린이공원이 조성된 곳 500m의 반경을 넘어서 상대적으로 받는 혜택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원 분포도를 보면 도심속에 있으면서도 서비스 환경이 다소 열악한 건입동주민센터 일대와 용담2동 용문마을 주변의 경우 마치 '공중섬'의 모습을 띄고있다.

이와 함께 공원의 특성을 반영한 '주제공원' 재편의 필요성도 대두됐다.

# 1인당 공원면적 끌어올린다

제주시는 시내 전 지역의 1인당 공원면적을 15.1㎡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현재 약 41만여명인 제주시민이 2025년 즈음해서 47만여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제주시의 목표대로 15.1㎡의 1인당 공원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총 도시공원 면적은 709만㎡의 부지를 확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현재 5.4%의 공원녹지율을 6.1%까지 올릴 것을 계획중에 있다.

제주시는 공원을 조성하는데 있어 도심 내부에 위치한 오름을 활용하는 것과, 도심을 둘러싸고 있는 녹지와의 연계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또 다양한 문화재 및 관광자원과의 연계에도 초점을 맞추고 조성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주제공원' 재편과 관련해서는 유형별로 재분류해 근린공원과 주제공원으로 나눠 공원별 테마및 특화방안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주제공원은 다시 역사, 문화, 수변, 묘지, 체육 공원 등으로 나뉘어 각 지역에 필요한 요소별로 적용할 방침이다.

어린이 공원의 조성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놀이기구만을 설치하는 방식을 벗어나 과학놀이, 예술, 물, 숲 등의 테마를 살리는 공원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상업지 주변의 어린이공원인 경우 놀이시설 및 주변 상업시설을 위한 쉼터도 함께 제공하고, 주거지 인근의 어린이공원은 주민간 친목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겠다고 설명했다.

# 4300억원 예산 집행, 민자유치...과연?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예산' 문제다.

제주시 공원녹지과 관계자는 "2025년까지 4300억원의 자금을 투입해 사업을 시행할 계획"이라면서 "연도별로 290억원 가량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재정악화 일로를 걷고 있는 제주도정이 공원을 조성하는데 과연 얼마만큼의 예산을 집행할지가 관건이다.

제주시는 이에 대한 복안으로 민간자본 유치를 검토하겠다는 뜻을 넌지시 내비쳤다.

한편 공청회의 토론자로 나선 제주발전연구원 엄상근 박사는 서비스권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공원조성 사업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것이기에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이들이 없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녹화지구로 선정된 지역을 두고 그 이유를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상대적으로 서비스권 혜택이 부족한 지역을 선정해 중점적으로 추진했으면 한다"는 의사를 함께 밝혔다.

제주도의회 류성필 환경도시위원회 정책자문위원은 도두봉, 원당봉, 남조봉 등이 대부분 사유지"라며 공원내 사유재산의 제약에 관한 부분의 해결을 촉구했다.

제주생태연구소 현원학 박사는 "1인당 공원면적 법정 기준을 두고, 왜 한림.구좌는 수치가 높은지 조천.한경은 낮은지 이유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제주시는 이날 공청회의 의견을 바탕으로 세부적인 사안에 대한 계획안을 다시 마련해, 장기적인 관점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미디어제주>

<박성우 기자 / 저작권자 ⓒ 미디어제주 무단전재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