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루, 2013년 유해야생동물 지정 이후 73% 감소
해제 이후 생태계교란종 등의 영향으로 개체수 증가 더뎌
제주도 "적정 개체수 유지돼야 유해야생동물 검토 가능"
[미디어제주 고원상 기자] 유해야생동물 지정 이후 11년 동안 전체 개체수의 73%가 가라졌던 노루의 개체수 회복이 더딘 가운데, 노루를 다시 유해야생동물로 지정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의견이 제주도의회에서 나왔다.
제주도의회 강연호 의원은 12일 열린 제431회 임시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제2차 회의 자리에서 노루의 유해야생동물 지정 필요성을 언급했다.
강연호 의원은 먼저 외래종인 사슴과 노루의 개채수를 언급하며, 노루가 농작물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주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강 의원은 "제주도내 사슴류는 지금 해봐야 250마리로 추정되고 노루는 약 4800마리 정도 되겠는데, 제주에서 농가에 피해를 주는 게 어느 동물이 더 심하겠는가? 당연히 개체수가 많은 노루가 피해가 많은 것으로 야생이 되는데, 노루는 유해야생동물에 2013년에 지정이 됐다가 2019년애 해제가 돼버렸다. 지금은 포획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강 의원은 이어 "농가에 피해가 더 큰 노루는 놔둔 상태에서, 개체수는 계속 증가될 것"이라며 "그런데 개체수가 250마리밖에 안되는 사슴이 외래종이라는 이유로 포획이 이뤄지고 있다"고 꼬집었다.
사실상 외래종인 사슴이 아니라 노루를 포획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강 의원은 실제로 "노루 개체수는 상당히 많이 증가가 된 것으로 보인다"며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지나면 다시 한 번 농가 피해 예방을 위해 노루를 유해야행동물로 지정해야 한다는 점을 피력했다.
노루가 처음 유해야생동물로 지정된 것은 강 의원의 언급대로 2013년 6월이다. 농작물에 따른 피해 등이 유해야생동물 지정 이유였다.
그 당시 제주도내 노루 개체수는 1만 마리 이상이었다. 2009년 조사에서 1만28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됐었고, 유해야생동물 지정 직후인 2014년에도 1만2300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었다.
하지만 유해야생동물 지정 이후 노루의 개체수는 문자 그대로 '급감'하기 시작했다. 2015년에 7600마리까지 줄면서 불과 1년 사이에 5000마리에 가까운 노루가 사라졌다.
아울러 2016년에는 6200마리, 2017년 5700마리, 2018년 3800마리, 2020년에는 3500마리까지 줄었다. 11년만에 전체 개체수의 73%에 해당하는 9300마리가 제주에서 모습을 감췄다.
제주도내 노루의 적정개체수는 6100마리로 분석되고 있는데, 11년의 기간 동안 농작물 피해 등을 이유로 적정개체수 등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노루 학살’이 이뤄진 꼴이었다.
개체수가 급감하면서 제주도가 2019년 노루의 유해야생동물 지정을 해제했지만, 그 이후 개체수는 강연호 의원의 언급과는 달리 눈에 띄게 늘지 않고 있다.
유해야생동물 지정 해제 이후 지금까지 5년이 지나는 동안 늘어난 노루 개체수는 1300마리 정도에 불과하다. 이 추세대로라면 적정 개체수인 6100마리까지 가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개체수가 눈에 띄게 늘지 않는 것은 한라산을 중심으로 들개와 사슴 등의 생태계교란 동물이 확산되면서 노루 등의 개체수 증가에 악영향이 미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제주도는 강연호 의원의 요구에 대해 노루의 적정개체수인 6100마리가 넘어서야 유해야생동물 지정 검토를 해볼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