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19 11:14 (금)
대당 100만원 제주시 공공자전거 사업, 진도 못나가는 이유는?
대당 100만원 제주시 공공자전거 사업, 진도 못나가는 이유는?
  • 고원상 기자
  • 승인 2023.05.11 10: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시, 대당 100만원 투입에 "너무 비싸다" 비판 이어져
제작업체는 정작 "가격 너무 낮아" ... 제작 공고에 참여 안 해
곧 세 번째 업체 선정 절차 ... 일각에선 "다른 인프라 확충해야"
제주시가 2011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공공자전거. /사진=제주시.
제주시가 2011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공공자전거. /사진=제주시.

[미디어제주 고원상 기자] 제주시가 한 대당 100만원에 달하는 금액으로 공공자전거 구입한다는 계획을 내놓으면서 "지나치게 비싼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지만, 정작 자전거 제작 업체에서는 대당 100만원이 부족하다며 공공자전거 제작을 꺼리는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제주시는 조만간 공공자전거 제작 구매를 위한 재공고를 내고 공공자전거 제작 업체 선정에 나설 예정이다.

제주시는 앞서 공공자전거 제작 구매를 위한 공고를 이미 두 차례 낸 바 있다. 첫 공고를 지난 3월 중순 낸 바 있었지만 자전거 제작업체가 한 곳도 이 공고에 참여하지 않아 유찰됐고, 그 이후에 다시 공고를 내서 1순위 업체와 2순위 업체가 모두 선정됐지만, 이들 업체 모두 이후 입찰을 포기했다.

자전거 제작 업체들이 이처럼 제주시의 공공자전거 제작에 참여하지 않으려는 것은 비용 문제 때문으로 파악된다. 자전거 제작을 위해 제주시가 투입하는 예산이 너무 적어 수익성이 낮다는 것이다.

제주시가 이번에 제작 구매하려는 자전거는 모두 90대다. 여기에 투입되는 비용은 8959만5000원으로 사실상 자전거 1대당 약 100만원의 비용이 투입된다. 한편에서는 이 대당 100만원이라는 비용이 지나치게 비싸 혈세를 낭비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도 하다. 

제주시가 자전거를 대당 100만원에 구입하려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도민 A씨는 “대여와 반납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의 비용과 유지보수비용 등을 고려하더라도 가격대가 너무 비싼 것 같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또 다른 도민 B씨 역시 “처음에 가격을 듣고 제주시가 공공자전거로 전기자전거를 구입하려는 것인줄 알았다”며 “특수재질로 만드는 것도 아닐텐데, 가격대가 너무 높은 것 같다”고 꼬집었다.

B씨의 지적처럼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자전거중 가격대가 100만원 이상 넘어가는 자전거의 경우는 일반적인 자전거보다 더욱 가볍고 내구성이 높은 ‘카본’ 등의 특수제질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비판은 제주도의회에서도 제기된 바 있다. 김기환 의원(더불어민주당, 이도2동갑)이 지난해 11월 제주시 도시건설국 등을 상대로 예산안을 심사하는 자리에서 “전기 자전거도 아닌 일반 자전거를 대당 100만원에 구입하는 것은 너무 비싸다는 생각이 든다”며 “아울러 비싼 가격을 주고 구입까지 하는데, 과연 공공자전거 사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지는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제주시의 공공자전거 제작 비용은 대표적 공공자전거인 서울시의 ‘따릉이’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따릉이의 제작비용은 대여 및 반납 시스템 단말기 등까지 포함해 약 84만원 수준이다.

제주시는 이처럼 자전거 한 대당 높은 가격이 책정된 것에 대해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자전거의 잠금장치 등을 고려하고 공공자전거 사용을 위한 대여 및 반납 시스템 장착과 각종 안전장치 등을 고려하면 가격대가 올라갈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처럼 자전거 대당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고 있음에도 정작 제작 업체에서는 비용이 낮다며 제작을 꺼리고 있는 분위기인 것이다. 자전거 제작이 대량 주문으로 이뤄지는데다, 서울처럼 수요가 많지 않은 이상 높은 수익성을 기대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이는 것이 점이 주요 이유로 분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자전거 제작에 큰 비용을 들일 것이 아니라, 그 외 인프라 확충에 비용을 투입하고 자전거 사용을 활성화시켜야 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자전거 이용이 다른 지역에 비해 활성화돼 있는 서울시는 자전거 도로 등의 인프라 구축 역시 비교적 잘 돼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제주도의 자전거 도로 등 관련 인프라 시설은 열악한 수준이다.

제주도는 2015년 11월 제주를 일주하는 이른바 ‘환상자전거길’을 완공하고 개통했지만 자전거 도로의 대부분이 사람들이 다니는 인도와 겹치거나 자동차 도로와 겹치면서 사실상 ‘자전거 도로’라고 부르기 민망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마저도 요철이 심한 구간이 상당하고 차량이 주차돼 있는 등의 구간도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환상자전거길’이 아니라 ‘환장자전거길’이라는 비아냥까지 나오고 있다.

아울러 자전거 제작에 나서더라도 자전거 관리에 공공이 더욱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는 비판도 있다. 제주시는 앞서 관리소홀 등의 문제로 공공자전거를 90대 이상 불용 처리한 선례가 있다. 이 때문에 다시 100만원을 들여 자전거를 구입하더라도 관리소홀로 다시 못쓰는 자전거가 되고, 상당한 액수의 도민 혈세를 도로위에 방치하는 꼴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존재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