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정책의 객체가 아닌 주체로서 참여해나가야” 강조

[미디어제주 홍석준 기자] 강병삼 제주시장이 청년들과의 소통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3월 들어 청년들과 온라인 소통을 위해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제주시 청년행복 소통e’를 개설, 운영하면서 청년들과 소통을 시작한 데 이어 청년들과 도시락 소통 간담회를 갖는 등 오프라인에서의 직접 만남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강 시장은 지난 22과 23일 이틀간에 걸쳐 시장 집무실에서 도시락 소통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는 지난 6일부터 제주시가 운영중인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 참여자 가운데 간담회 희망자 12명이 자리를 함께 했다.
강 시장은 도시락을 함께 먹으면서 청년들의 고민과 애로사항 등 제주에서 느낀 청년들의 경험담과 제주 청년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자유롭게 대화를 이어갔다.
직업 쩐환 교육을 서울에서 받았던 경험을 얘기한 한 청년은 제주에서도 그런 시설이 있었다면 소중한 시간과 경비를 아낄 수 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토로했고, 원격 근무 중 제주가 너무 좋아서 이직을 준비하고 있지만 자신에게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고민이라는 다른 청년의 얘기도 나왔다.
이 밖에도 37개의 자격증을 갖고 제주로 이주해 잘 정착하고 있다는 청년의 얘기와 제주에도 수도권처럼 보다 많은 문화예술 창작 공간과 다양한 즐길 거리들이 많아야 청년들이 제주에 정착할 수 있을 거라는 의견도 나왔다.
또 섬이라는 특성상 물류 유통과 제조업 분야가 불리한 만큼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얘기, 청정 제 브랜드의 장점을 살려 청년들의 일자리에 접목시켜야 한다는 의견 등 청년들의 다양한 관심사와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이 됐다.
강 시장은 “청년들이 정책의 객체가 아닌 주체로서 참여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앞으로도 ‘제주시 청년 행복 소통e’ 채널을 통해 청년들의 고민과 걱정거리를 경청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제주시 차원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