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19 17:38 (금)
감귤 종자산업 육성 ‘제자리걸음’ … 자급률 고작 2.5%
감귤 종자산업 육성 ‘제자리걸음’ … 자급률 고작 2.5%
  • 홍석준 기자
  • 승인 2020.10.11 1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위성곤 의원 “농진청 자료 분석 결과 감귤 종자 자급률 매해 꼴찌”
신품종 개발에 해마다 220억원 투입, 과수‧화훼 신품종 보급률 저조
농촌진흥청이 조사한 품목별 종자 자급률 조사 결과 감귤이 2014년 이후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디어제주 자료사진
농촌진흥청이 조사한 품목별 종자 자급률 조사 결과 감귤이 2014년 이후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디어제주 자료사진

[미디어제주 홍석준 기자] 종자산업 육성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에도 불구하고 감귤의 경우 종자 자급률이 2.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 서귀포시)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감귤 종자 자급률은 지난 2014년 1.0%, 2015년 1.8%, 2016년 2.0%, 2017년 2.2%, 2018년 2.3%, 2019년 2.5%로 나타났다.

지난 2014년에 비해 고작 1.5% 자급률이 높아진 것이다.

특히 농진청이 조사하고 있는 다른 작물의 자급률에 비해 감귤의 종자 자급률은 월등히 낮아 조사 품목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농진청에 따르면 지난 2011년 이후 49111억원이 투자된 ‘골든 시드 프로젝트’와는 별도로 2014년 이후 신품종 개발을 위해 해마다 220억원 이상을 쏟아붓고 있다. 이를 통해 지난 5년 동안 84개 작목 392종의 신품종을 개발 보급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개발된 신품종의 전체 보급률은 50% 미만에 그치고 있고, 그 중에서도 과수와 화훼의 보급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성곤 의원은 “‘종자 강국’ 실현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가시적인 성과가 더디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특히 제주 감귤의 경우 현재 재배중인 품종의 90% 이상이 일본 품종으로, 이를 대체할 우량품종 개발과 함께 속도감 있는 현장 보급이 시급한데도 이에 대한 위기의식이 없는 것 같아 아쉽다”고 지적했다.

위 의원은 이어 “우리나라는 해마다 주요 작물에 대한 로얄티로 100억원 이상을 지출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2년 전 제주 농가에 들이닥쳤던 아스미 사태의 악몽은 언제든지 다시 재현될 수 있다. 세계 종자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2018년 초반 일본의 국립 연구개발법인이 국립종자원에 ‘아스미’와 ‘미하야’ 품종에 대한 품종 보호를 출원, 도내 300여곳의 농가가 생산한 900여톤의 감귤을 출하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던 일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킨 것이다.

한편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UPOV) 협약에 따른 ‘품종 보호제도’란 식물 신품종 육성자의 권리를 법적으로 보장해주는 지적재산권의 한 형태다. 이를 근거로 품종 보호권자는 농가가 수확한 열매에 대해 배타적 권리를 주장할 수 있고, 이 경우 일명 ‘로얄티’라고 불리는 품종 사용료를 청구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