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완료지역 전수조사 제안에 원희룡 지사 “내년에 전수조사 실시” 답변

[미디어제주 홍석준 기자] 제주도의 분류식 하수관거 정비 사업이 완료된 곳에서도 우수관에 오수가 흐르는 등 하수관거 정비 사업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도의회 이승아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시 오라동)은 도정질문 마지막날인 21일 원희룡 지사를 출석시킨 가운데 제주도의 하수 문제가 하수처리장 증설이나 상하수도 원단위를 일괄 적용하는 방향으로만 접근하면 안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특히 이 의원은 지난 1996년부터 1조7240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돼 이미 82% 가까이 진행된 하수관거 정비 사업에 대한 문제를 조목조목 짚어내면서 도내 분류식 하수관거 정비사업이 완료된 곳에 대한 전수조사가 이뤄져야 할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우선 “상식적으로 분류식 하수관거 정비사업을 하려면 차집관로를 정비해야 하는데, 250㎜ 관경의 차집관로에 250·300㎜ 관경의 전용 오수관로와 400·600㎜ 관경의 합류식 관로가 연결돼 있다”면서 “비만 오면 용량을 감당하지 못하고 차집관로에서 하수가 유출되고 있는데 이걸 알고 있으면서도 정비를 하지 않고 있다면 직무유기 아니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더구나 맑은 날씨에도 관경의 70% 이상 오수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비가 올 때마다 하수관로로 들어온 각종 이물질이 유출돼 하천 뿐만 아니라 연안 해양을 오염시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엄청난 혈세가 투입돼 분류식 하수관거 정비 사업이 완공된 곳인데 맑은 날에도 우수관에 흐르지 말아야 할 오수가 흐르고 있다는 것이다.
원 지사는 이 의원의 이같은 지적에 “곳곳에 우수가 흐르고 있고 고의적으로 하는 곳도 있는 거 같다. 현재 가정까지 전수조사를 하고 있다”는 답변을 내놨다.
이 의원이 다시 “아무런 제재도 없이 오수가 하천으로 흘러가고 있는 데 대해 반드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하자 원 지사는 “내년에 전수조사를 실시하기 위해 예산을 잡아놓고 있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자신의 도정질문 순서가 끝난 후 도의회 기자실을 방문, 보충 설명을 통해 “2017년 조직개편이 이뤄지면서 상하수도본부 지역사업소 업무가 행정시로 이관된 후 하수도 분야에 대한 민원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도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그는 “하수 분야 업무 분장에 대한 혼선으로 인한 민원 발생을 줄이려면 상하수도본부에서 총괄적인 책임제로 운영하거나 조직 개편 때 다시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