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3-29 00:04 (금)
제주 올해 봄 가뭄 전망 ‘水자원 관리’ 영향 우려
제주 올해 봄 가뭄 전망 ‘水자원 관리’ 영향 우려
  • 이정민 기자
  • 승인 2018.01.24 14: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연구원 정책이슈브리프 ‘효율적 수자원 관리 방안 연구’
“기상청, 제주 가뭄 지역 분류…가을까지 이어지면 치명적”
지난 13일 기준 기상청 분석 가뭄 분포도.
지난 13일 기준 기상청 분석 가뭄 분포도.

[미디어제주 이정민 기자] 지난해부터 이어진 강수량 부족이 올해도 이어지면서 수(水) 자원 관리에 악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제주연구원은 24일 JRI 정책이슈브리프 Vol. 285 ‘제주지역 2018년 봄철 기상 전망에 따른 효율적 수자원 관리 방안 연구’(박원배 선임연구원‧강봉래 위촉연구위원)를 통해 올 봄 가뭄에 대비, 물 관리 체계 개선 방안 등을 제시했다.

제주연구원은 지난해 11월 23일 기상청이 발표한 올해 봄철 기후전망을 인용, 기온 상승이 지속하고 봄철 강수량이 평년 236.6mm와 비슷하거나 적을 확률이 80%라고 밝혔다.

기상청이 분석한 올해 1월 13일 기준 가뭄 발생 지역을 보면 제주가 이미 가뭄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연구진은 충분한 강수가 없을 경우 심각한 봄 가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가을까지 이어지면 지하수위 하강, 지하수 취수량 증가로 해수침투 등 수자원 관리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2016년 12월 기준 제주도 지하수 개발 이용 현황. [제주연구원]
2016년 12월 기준 제주도 지하수 개발 이용 현황. [제주연구원]

제주지역 수자원 개발 및 이용 현황을 보면 2013년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관리종합계획’ 수립 시 연평균 강수량은 2061mm이며 지하수 함양량은 연간 16억7600만㎥다.

당시 지하수 함양량 중 지하수위 하강이나 해수침투 등의 문제 없이 지속적으로 이용 가능한 ‘지속이용 가능량’은 연간 6억4500만㎥로 함양량의 38.5%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그러나 2016년 기준 지하수 이용량이 하루 56만7000㎥로 허가량(156만3000㎥)의 36% 수준으로 여유가 있지만 가뭄 등 매년 지역적으로 물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근본적인 해결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최근 급속한 인구 및 관광객 증가로 물 이용량 역시 증가해 비교적 강수량이 많았던 2016년(1806mm)에도 가뭄이 심했던 2013년(강수량 1013mm)에 비해 지하수 이용량이 2.47% 늘어나는 등 지하수 이용량이 증가 추세라고 부연했다.

실제 제주 총인구수는 지난해 67만8772명으로 전년 66만1190명에 비해 1만7582명이 증가했고 관광객 수도 2015년 1366만4000명에서 2016년 1585만2000명으로 16% 늘었다. 지난해는 ‘사드’(THADD)의 영향으로 중국인 관광객이 70% 이상 줄면서 전체 규모가 다소 감소했다.

“상수도-농업용수 통합 관리‧지하수 활용 시 적재적소 물 공급 가능”

“대체 수자원 없어 관리위해 절수설비 의무 설치 대상 확대 등 필요”

지하수 이용량 변화 추세. [제주연구원]
지하수 이용량 변화 추세. [제주연구원]

연구진은 제주도의 물 공급 부족에 대해 매년 발생하는 가뭄과 물 공급 시스템의 문제에 의한 것으로 분석하고 “지하수를 주 수원으로 이용하는 제주에서는 상수도와 농업용수를 통합 관리하면 제주 전역에 개발된 지하수를 활용, 적재적소에 물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법상 상수도와 농업용수 공급 및 관리부서가 다르고 적용 법도 달라 관로 연계, 수질, 지하수 인허가 문제 등의 해결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연구진은 이처럼 상수도와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통합 관리를 위해서는 ▲공공 농업용 지하수 수질검사 ▲공공 농업용 지하수 개발 및 이용시설에 간이 소독시설 설치 ▲제주특별법·지하수관리조례 개정 ▲상수도-공공 농업용 지하수 연계 타당성 검토 ▲공공 농업용 지하수-상수도 관로 연계 ▲상수도 원수를 농업용 배수지로 공급할 수 있도록 관로 연계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현재 제주도의 실정 상 가뭄이나 강수량 부족 시 대체 공급할 수 있는 수자원 자체가 없어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이용량 감량이 유일해 절수설비 의무 설치 대상 확대 및 지원, 농업용수 관수 방법 개선, 농업용수 관로 주기적인 점검 및 보수 등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지하수위 및 해수침투 모니터링 강화 차원에서 모니터링 상황실 설치와 해수침투 감시 관측정 개선 등을 주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