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4-25 17:37 (목)
현재 공항도 제대로 관리 못하는데 제2공항까지?
현재 공항도 제대로 관리 못하는데 제2공항까지?
  • 조보영 기자
  • 승인 2016.01.25 00:56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폭설로 9만 관광객 발묶여…초기대응 및 위기 관리 능력 도마 위
24일 오후부터 26일 저녁 8시까지 기록적 폭설로 인해 제주공항의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면서 9만 관광객의 발이 묶여버리는 사상 초유 사태가 벌어졌다. 그러나 제주도가 체류객들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해 재난 발생 시 제주도의 위기대응능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제주공항이 '공황상태'에 빠졌다.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공항 마비 사태가 벌어지면서 제주도의 초기 대응 능력은 물론 위기 관리 능력에 대한 책임이 떠오르고 있다.

지난 주말 32년만의 폭설, 7년만의 한파 특보가 제주를 덮치자 국토부는 23일 오후 5시50분부터 항공기 운항 중단을 결정했다. 이어 3일 연속 활주로가 폐쇄, 9만 관광객들의 발이 묶여버렸다.

수천명의 체류객들은 대기표를 받기 위해 추위에 떨며 노숙을 했다. 편의점 내 신선식품도 동이나 제주를 찾은 여행객들은 하루아침에 ‘공항 난민’ 신세로 전락하고 말았다.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는 이번 천재지변이 예고된 재난이었다는 데에 있다.

19일 기습 한파로 제주는 한 차례 비상 상황을 넘겼다. 제주 전지역이 영하권을 기록하면서 도로 결빙으로 인한 차량 통제 등 출근길 대란이 빚어졌던 것.

바로 다음날 제주도 재난대책본부와 제주지방기상청은 4일 후인 23일 더 강력한 한파가 제주에 불어닥칠 것을 전망하며 재난 상황의 선제적 대응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그러나 재해 시작 첫날부터 제주시내 주요 도로가 ‘교통 지옥’으로 변하고, 제주 공항 무더기 결항으로 체류객들의 민원이 잇따르는 등 제주도 전역에 예기치 않은 비상 상황이 벌어지자 도의 초기대응 실패가 아니냐는 논란마저 제기되고 있다.

재난 비상 체계에 대한 안전 조치 및 충분한 안내 절차 없이 74시간 동안 공항에 발이 묶여 버린 수천명의 체류객은 물론 예비 관광객에게 국제자유도시 제주의 위상은 이미 불신의 꼬리표를 달게 됐다.

제주공항에서 노숙하고 있는 관광객들.

게다가 이번 공항 마비 사태는 정상적인 조건에서의 '관리 능력'이 아닌 비상 상황에서의 '대응 능력'이 진정한 '수용 능력'이라는 인식을 전 국민에게 상기시켰다.

특히나 제주국제공항은 지난해 12월 12일에 이어 지난 1월 21일 관제시설 통신장비 먹통으로 항공기 수십편이 지연되는 소동이 연이어 발생, 안전체계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는 분위기다.

여기에 이번 폭설에 따른 체류객 불편으로 공항 사업의 최우선 가치인 서비스 기능에 제동이 걸리면서 안전과 서비스 등 전반적인 운영 능력이 도마에 올랐다.

한편 폭설 시작 하루 전 날인 22일, 국토부 한국개발연구원(KDI), 제주도청 공항확충지원본부 관계자은 제주공항 대회의실에서 ‘제2공항 건설 예비타당성 조사’와 관련한 비밀 간담회를 진행했다.

공교롭게도 바로 다음날 제주공항은 폭설로 마비됐다. 제2공항의 타당성에 앞서 제1공항의 정상화가 더 시급한 과제임을 국토부와 제주도만 모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안타까운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조보영 기자 / 저작권자 ⓒ 미디어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맞는 말씀 2016-01-25 12:24:36
있는 시설관리도 잘 안되는 이런 상황에 제2공항 건설은 좀 심사숙고하는 게 맞다고 생각되네요~~
현재 항공공급좌석수와 호텔 객실수에 대한 수용력을 면밀히 조사분석 등의 심도있는 의견 수렴이 필요한 듯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