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4-03-29 00:04 (금)
제주도내 서식 참진드기 SFTS 병원체 감염률 0.14% 불과
제주도내 서식 참진드기 SFTS 병원체 감염률 0.14% 불과
  • 홍석준 기자
  • 승인 2015.03.02 10: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보건환경연구원 조사 결과 … 734개 묶음 중 1개 묶음에서 병원체 발견
SFTS 감염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작은소참진드기.

제주도내 서식중인 작은소참진드기 분포 상황과 SFTS(중증열성혈소판증후군) 병원체 감염률에 대한 조사를 벌인 결과 바이러스 감염비율이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이 2일 발표한 ‘도내 서식 참진드기 분포 및 SFTS 병원체 감염률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가운데 작은소참진드기는 94.2%, 이 중 병원체 바이러스가 확인된 것은 734pooling 중 1pooling으로 감염률은 0.14%에 불과했다.

1pooling은 성충 5개체 또는 자충 30개체, 유충 50개체의 묶음을 얘기하는 것으로, 조사 대상의 크기가 작은 경우 묶음 단위로 한꺼번에 조사를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3월부터 10월까지 작은소참진드기가 서식할 수 있는 오름과 숲길, 올래길 등 4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대상지역에 서식하는 진드기는 피참진드기 속의 작은소참진드기와 개피참진드기 2종인 것으로 파악됐다. 전체 진드기 중 작은소참진드기가 94.2%였고 개참진드기는 5.8%로 분류됐다.

대상 지역별 작은소참진드기 개체수는 숲길이 전체의 45%로 가장 많았고 오름 20~23%, 올래길 11.5% 등 순이었다.

성장단계별 분류 결과 전체적으로 모두 7545개체 중 유충이 19.8%, 자충 72.8%, 성충 7.4%인 것으로 파악됐고 성충은 오름, 자충은 숲길, 유충은 올래길에서 상대적으로 서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진드기 개체수는 3월부터 증가하다가 여름철인 7~8월에 피크를 보이다 9월 이후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성장단계별로는 봄에는 자충, 여름에 성충, 가을에는 유충의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적으로 120명의 SFTS 환자가 발생해 13명이 사망했고 제주지역에서도 7명이 발생했지만 사망자는 없었다.

2013년 제주 지역에서는 6명의 SFTS 감염환자가 발생, 4명이 사망한 바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딥페이크등(영상‧음향‧이미지)을 이용한 선거운동 및 후보자 등에 대한 허위사실공표‧비방은 공직선거법에 위반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삭제 또는 고발될 수 있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