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7월3일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밝혔다. 주요 현안과제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4대 현안별 TF팀을 구성, 운영한다는 것이 골자다. 현안별 TF팀은 한·미 FTA 협상 및 1차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한·미 FTA 대응 TF팀’과 도민 화합 및 지역공동체 강화를 위한 ‘도민대화합 TF팀’,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제살리기 TF팀’, 광역도시계획 추진을 위한 ‘균형발전 TF팀’ 등이다.
이어 6일에는 4대 TF팀에 속할 인사들을 선정했다. 이 TF팀은 7월20일까지 각 사안별로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로드맵을 작성한 후, 단계적으로 사업들을 추진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도민사회 갈등 해소와 화합도, 전문가가 나서야 풀리나
여기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도민 화합 및 지역공동체 강화를 위한 '도민대화합 TF팀'의 운영이다. 다른 TF팀이야 말 그대로 제주 현안이라 할 수 있다. 한미 FTA협상이라든가, 경제살리기라든가, 균형발전 등은 실제 제주가 당면한 과제이기에 TF팀 구성을 통해서라도 풀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도민대화합 TF팀을 구성해 운영하겠다는 것은 여러번 생각해도 난센스다. 도민 화합과 지역공동체 강화를 위한 도민대화합 태스크포팀 운영. 5.31 지방선거로 깊어진 도민사회 갈등을 풀 수 있는 길이 고작 태스크 포스팀 운영이란 말인가.
제주도는 이 태스크포스팀에 대학교수 2명, 그리고 연구원에 종사하는 1명, 공무원 2명, 시민단체 2명 등 총 9명을 위촉했다. 이들로 하여금 도민화합과 지역공동체 강화 방안에 대해 도출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서로 화목하도록 하는 일, 이것도 전문가가 나서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해야 할 현안인가. 참으로 이해할 수 없는 노릇이다.
제주도의 이러한 '도민 통합' 발상은 유독 이번만이 아니다. 지난해 7.27 제주도 행정구조개편으로 도민사회 갈등이 깊어지자, '제주도민화합추진위원회'라는 대규모 조직을 만든 바 있다. 제주도내 각계 인사 71명을 선정해 위원회를 발족시켰다.
도민화합 추진위원회를 만든 후, 그 결과는 어떠했는가. 위원회 창립을 계기로 해 구호상 '화합'이라는 말이 우리사회에 더욱 많이 회자되게 했을지는 몰라도, 진정 화합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었는지는 가늠하기 어렵다.
지난 5.31 지방선거가 끝난 후, 도민화합추진위원회에서 화합을 촉구했는데, 그 반응은 시원치 않았다. 도민화합추진위원회에서 화합을 촉구한 인사 중에서도 지방선거에 개입해 특정후보를 지지한 사실이 있기 때문이다. 자성해야 할 당사자가 화합을 촉구하는 격이 됐기 때문이다.
#정서적으로 풀어야 할 문제를 '전문가 논의', 또다른 위화감 조성 우려
화합을 어떻게 이룰 것인지, 이번에 구성된 태스크 포스팀이 그 해답을 분명하게 찾아낼 수 있을까. 인간사가 획일화된 관념으로 이뤄진 것이 아니란 것을 인지한다면, '정답이 없는 문제'의 해결방안을 찾아 제시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무모한 것 아닌가. 지나친 자만이다.
도민사회의 정서적으로 풀어야 할 문제를, 소위 '전문가'라고 자처하는 인사들을 모아놓고 그 해법을 논의한다는 것 또한 또다른 '위화감' 조성에 다름없다.
제주도민화합추진위원회에 포함된 71명과, 이번 태스크포스팀에 인선된 9명이 '화합'을 일구는 주체인 것 마냥 으시대는 것은 묵묵히 일하는 도민들에게 불쾌감을 줄 뿐이다.
화합은 구호나 요란한 로드맵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님은 분명하지 않은가. 정서적으로 차근차근 풀어야 할 문제를 놓고 위원회니, 태스크포스팀이니 하면서 요란을 떨고 있으니, 한심할 따름이다.
화합추진위원회나 태스크포스팀이 보여주기 위한 전시성 행정의 일환이라면, 당장 중단하고, 마음으로 도민들에게 다가서도록 노력하는 자세를 보이는 것이 지당하다.
한 전문 분야나 그 사업을 추진하려면 다양한 의견도 수렴하고 전문지짓을 갖춘 사람이 추진해야 하는거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