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사명감이 소방업무의 바탕이라는 이동훈 팀장.
지난 1996년부터 16년 동안 소방·구조·구급 현장에서 뛰고 있는 이동훈 제주특별자치도 서부소방서 119구조대 2팀장(43).
이 팀장은 현재 도내 서부지역 5개 읍면지역의 화재예방, 교통사고, 수난·추락·산악 조난 수색 등 구조업무를 맡아 언제든지 달려 나갈 준비가 돼 있다. 평균 하루 2차례 꼴로 출동한다.
화재가 나면 대원 모두가 출동하고, 119상황실에서 가스·전기·성폭력 관련 신고를 접수하면 관련기관에 통보해주고 있다.
출동 건수는 화재진압 보다도 구조가, 구조보다는 구급이 가장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
이 팀장은 태풍‘루사’가 제주를 덮쳤을 때 로프 하나에 의지해 높은 파도가 치는 50m앞 바다 속으로 뛰어들어 물속에 빠진 남자를 구했던 일, 화북주공아파트에서 작업하던 엘리카가 비틀어져 높은 물탱크 속으로 로프를 타고 가 구조했던 일들을 보람으로 여긴다.
119구조업무를 하다보면 겪는 어려움도 적잖다.
“구조활동을 하다보면 구조현장에서 술에 취한 사람이 고성으로 이래라저래라 관여하거나, 구조가 늦는다며 참고 기다려주지 않고 생떼를 쓰는 일 등을 겪게 됩니다. 특히 출동하다보면 통로를 만들 수 있도록 차량들이 빨리 피하지 않아 늦게 도착하게 돼 안타깝죠”
출동 시간은 1㎞거리를 1분 안에 가야하지만 서부소방서는 애월-안덕까지 관할지역 넓어 원거리 출동이 많아 늦게 도착할 때 많다고 이 팀장은 아쉬워한다.
이 팀장은 현재 평화로 쪽에 구조구급대가 생기길 바란다. 이곳에서 사고가 나면 대형이기 때문이다.
“농촌지역이다 보니 뱀·말·소·방견 등 안전조치를 해달라는 요청이 많아 보다 위급한 현장으로 갈 길을 잡기도 합니다. 환자가족이나 주변 인물 등이 구급대원을 폭행하는 일도 적잖아요. 구급대원 가운데 20%정도가 여성이어서 폭력에 취약할 수밖에 없어 걱정이 되죠”
근무가 3교대로 바뀌면서 한 팀이 78명에서 56명으로 줄어 가용인원은 줄었으나 인력보강은 되지 않고, 구조대원도 4명에서 3명으로 줄어 어려움이 크다.

현재 도내 고가사다리 차량은 57m여서 12층까지는 커버할 수 있다. 하지만 도내에 고층건물이 많이 생기고 있는 추세를 감안할 때 장비보강이 시급하다는 게 이 팀장의 생각이다.
“제주지역에도 소방항공대를 하루 빨리 운영해야 한다고 봅니다. 만약 고층건물에서 사고가 난다면 밑에서 올라가다보면 시간이 걸려 구조에 어려움이 있고 대비하기도 힘들기 때문이죠. 소방항공대는 산악이나 고층건물 인명구조에 필수적입니다”
이 팀장은 소방공무원의 전문성과 시책 개발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2006~2008년에 있었던 특수구조대가 인력부족으로 폐지됐지만 다시 가동해야 한다고 봅니다. 과거 교관활동을 하며 구조전문기술 연찬 교육, 도민들에게 현실적인 화재 대처요령 등 체험교육을 시킨 적이 있죠. 현재 소방교육대에서 하고 있는 심폐소생술 등 도민안전체험은 더욱 확대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현재 119구조대의 산악전문 구조기술은 이론과 실기가 전문가와 국제수준”이라는 이 팀장은“국제구조대 몫도 하고 있는 만큼 내부적으로 군인기술을 접목하고 교육훈련을 늘려 기술적 변화를 꾀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이 팀장은 구조업무에 체력은 필수여서 2003년부터 철인3종을 시작, 2004년엔 도내에서 열린 아이언맨대회에 참가해 제주도출전자 가운데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당시 만든 ‘119러너스’란 마라톤 동우회를 통해 직원들이 체력을 단련하고 있다는 이 팀장은 회원들이 동아마라톤 대비해 일주일에 두 차례 민오름에서 훈련하고 있다고 전한다.
이 팀장은“도민들이 ‘문을 따달라, 고양이 잡아가라, 야생동물 잡아주라’는 등 가급적이면 자신이 처리할 수 있는 일로 구조대를 부르지 말았으면 해요. 이는 재정·인력·시간 낭비에다 다른 위급한 상황대처에 지장을 주기 때문이죠. 요즘 느는 경향이 있는 구급대원 폭행도 제발 없었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하주홍 기자 / 저작권자 ⓒ 미디어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